
시장조사업체 한국IDC는 지난해 하반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의 출하량이 약 713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14.5% 줄었다고 20일 밝혔다.
올 상반기 출하량 또한 고물가, 고금리 영향으로 국내·외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3.7% 감소한 760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올 하반기 삼성전자와 애플 등 주요 제조사의 플래그십 모델 출시로 5G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7%포인트 증가한 89.1%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5G 점유율을 달성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800달러(약 106만원) 이상의 고가 제품군의 점유율 역시 같은 기간 5.6%포인트 증가해 59.7%를 차지했다.
지난해 하반기 국내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8.8%포인트 증가한 30.1%로, 큰 폭으로 성장했다. 삼성전자의 폴더블 시리즈인 '갤럭시Z폴드4'와 'Z플립4'가 성장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IDC는 "올해 역시 소비 심리가 위축되는 현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고 현재 소비 양극화가 스마트폰 수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제조사는 기존 제품 라인업을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인 프리미엄 제품군 기반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위축된 스마트폰 수요를 견인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나인기자 silkni@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