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가 시멘트 공급부족으로 인해 건설현장의 공사가 중단·지연되는 심각한 상황을 정부에 알리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대한건설협회는 상위 100위권 이내 중·대형사를 대상으로 긴급 조사한 결과 건설현장 63.6%가 중단 및 지연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3월 이후 시멘트·레미콘 수급불안으로 공사중단·지연된 현장이 절반이 넘었다. 레미콘이 관급자재로 공급되는 공공공사의 경우 단가조정이 불가능해 42개 조사현장 중 4개 현장만 정상 공급되고 있었다.
실제 서울 소재 민간 A 현장의 경우 레미콘 7대 물량(42㎥)을 주문했는데, 레미콘 업체가 2대 물량(12㎥)의 공급을 거절해 결국 전체 공사를 못 하고 중단했다. 경기도 소재 공공현장인 B현장의 경우, 레미콘 34대 물량(200㎥)을 주문했지만 한 대도 공급받지 못해 아예 레미콘 타설을 못하고 공사가 멈춰섰다.
이렇게 시멘트 공급부족 문제가 커질 수 있다고 판단, 협회는 국토교통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정부차원의 대책 마련을 건의했다. 협회는 시멘트업계의 설비보수·개조 일정 중첩으로 인해 시멘트 생산량이 급감했으며, 설비보수·개조 일정이 상반기 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고 시멘트 공급부족도 장기간 지속될 우려가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건설현장의 절반 이상이 공정 차질을 빚고 있는데 별다른 대책 없이 4월 이후 건설 성수기에 접어들게 되면, 자재가격 급등과 공사비 상승, 아파트 입주 지연 및 사회기반시설 지연 등 최악의 사태로까지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보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시멘트 공급 부족에 따른 공사중단 등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시멘트업계의 설비보수·개조 일정 조정 및 적정생산 등 시멘트 수급 안정화를 위한 협의체 구성을 건의했다"며 "자재수급 불안으로 공공 건설공사가 중단·지연되는 경우 공사 기간 연장 및 계약금액 조정토록 관계부처 및 산하기관에 지침을 시달하고, 민간공사의 경우에도 지체상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도록 제도적 근거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연기자 enero20@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