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5%로 0.41%p 올라 지난해 4분기 국내 은행권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개선되면서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
30일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2022년 12월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에 따르면 총자본비율은 15.25%로, 3개월 전보다 0.41%포인트(p) 상승했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2.57%, 기본자본비율은 13.88%로 같은 기간 각각 0.31%p, 0.38%p 상승했다. 다만 2021년 말과 비교해선 각 자본비율이 0.28∼0.42%p 하락했다.
BIS 기준 자본비율은 총자산(위험자산 가중평가)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로, 은행의 재무구조 건전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꼽힌다.
금감원은 작년 4분기 자본비율 상승에 대해 "순이익 시현·증자 등에도 불구하고 결산배당 등 공제항목 증가 등으로 인해 자본이 감소했지만, 환율하락 등에 따른 외화 익스포저 감소 등으로 위험가중자산이 더 큰 폭으로 줄어든 데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은행권이 작년 4분기 순이익을 내고 증자도 했음에도 불구하고 결산배당 증가 등으로 은행권 보통주자본이 총 4조5000억원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개별 은행별로는 작년 말 현재 모든 국내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이 규제 수준을 상회한다고 금감원은 평가했다. 5대 금융지주에서는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KB금융(16.16%), 신한지주(15.99%), 농협지주(15.73%), 하나금융지주(15.67%), 우리금융지주(15.30%)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금융지주사 소속이 아닌 은행 중에서는 씨티은행(20.72%), SC은행(17.83%) 등 외국계 은행의 총자본비율이 높았다. 인터넷 은행은 카카오뱅크(36.95%), 케이뱅크(13.94%), 토스뱅크(11.49%) 순이었다.
금감원은 "최근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고 대내외 경제여건도 악화되고 있는 만큼 향후 부실확대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면서 "대내외 경제 충격에도 은행이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국내은행의 자본비율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고 자본비율이 취약한 은행에 대해서는 자본적정성 제고를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은행이 예상치 못한 손실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기자본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기대응완충자본(CCyB) 부과, 스트레스 완충자본 제도 도입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강길홍기자 slize@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