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화 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이하 인수위) 기획·조정분과 상임자문위원(전 민생당 대표)이 윤석열 대통령의 한일정상회담을 연일 비판하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겨냥해 "역사가 사고 파는 것인가"라며 "가당치도 않는 지긋지긋한 '반일 놀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김정화 전 상임자문위원은 24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과거에서 배우고 미래를 준비하며 현재를 살자. 그대는 국익을 한 번이라도 챙긴 적이 있는가"라며 이같이 밝혔다.
반면 김 전 상임자문위원은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윤 대통령은 강제징용 피해 배상을 선제적으로 제시하며 한일관계를 정상화 궤도에 올려놓은 만큼 그런 갈급함으로, 강제징용 피해자들을 접촉하고, 국민적 공감대를 얻기 위해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살아온 세월을 맹신하면 축적한 내공이 편견이 될 수 있다"면서 "윤 대통령은 가장 아픈 자의 대통령"이라고 뼈 있는 말을 덧붙였다.
대통령으로서 사회적 약자에 대해 보듬고 이들을 위한 정치를 해야 한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앞서 지난 18일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서울시청광장 인근에서 열린 '망국적 한일정상회담 규탄! 3차 범국민대회'에 참석해 "윤석열 정권이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피눈물을 외면하고 국민 자존심에 상처를 냈다"며 "피해자의 상처를 헤집고 한반도를 진영 대결의 중심으로 몰아넣는 이 굴욕적인 야합을 주권자 힘으로 막아내자"고 윤 정부를 강력 규탄했다.
이 대표는 "윤석열 정권이 국민의 뜻을 잘 따르고 있나, 강제동원 배상안이 국민의 뜻에 부합하나. 일본에 간 대통령이 국민 뜻대로 행동했나"라며 "윤석열 정권이 끝내 일본 하수인의 길을 선택했다. 피해자들의 피눈물을 외면하고 국민의 자존심에 상처를 냈다. 선물 보따리는 잔뜩 들고 갔는데 돌아오는 길은 빈손이 아니라 청구서만 잔뜩 들고 왔다"고 윤 정부를 질타했다.
윤석열 대통량(왼쪽)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연합뉴스>
이어 "강제동원 피해자의 배상청구권은 누구도, 누구도 침해할 수 없는 인권이다. 피해자의 동의 없는 '제3자변제', 명백한 위법"이라면서 "윤석열 정권은 피해자의 명시적 반대에도 불구하고 대위변제를 강행하고 있다. '아무리 불법이라도, 아무리 위헌적이라도, 아무리 상식에 반하더라도 일본의 비위만 맞출 수 있다면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다', 이런 굴욕적 태도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권은 이 한반도에 항구적 위협이 될 군사대국화와 평화헌법 무력화에 동조하고 있는 것 같다"며 "강제동원 배상안, 지소미아의 원상 복귀를 통해서 한일 군사 협력의 길로 나아가고 있다. 한반도가 전쟁의 화약고가 되지 않을까 두렵다"고 강한 우려를 표했다.
지난 21일 윤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한일관계에 대해 "과거는 직시하고 기억해야 한다. 그러나 과거에 발목이 잡혀서는 안 된다"면서 "그동안 한일관계는 악화 일로를 걸어왔다. 양국 정부 간 대화가 단절됐고, 한일관계는 파국 일보 직전에서 방치돼 왔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만약 우리가 현재와 과거를 서로 경쟁시킨다면, 반드시 미래를 놓치게 될 것'이라는 영국 수상 윈스턴 처칠의 발언을 인용하며 "때로는 이견이 생기더라도 한일 양국은 자주 만나 소통하면서 문제를 해결하고 협력 방안을 찾아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