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어려서부터 올바른 금융습관과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조기 금융교육을 강화하고, 금융상황에 적합한 실용적인 콘텐츠를 적시에 보급하기로 했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날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 금융교육 주간' 행사에서 "금융환경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국민의 금융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금융교육이 필수적"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미국, 영국 등 주요국도 금융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해 금융교육을 국가전략의 하나로 채택하고 있다"면서 "금융위도 금융교육협의회를 통해 금융교육의 방향성을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으로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규 교과수업 외 교육활동을 통해 조기 금융교육을 강화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의 도입, 신종 금융범죄의 발생 등 금융환경의 변화에 금융소비자가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금융상황에 적합한 실용적인 콘텐츠 보급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코로나19로 위축됐던 오프라인 금융교육을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함으로써 대면교육을 정상화시키기로 했다.

김 부위원장은 "금융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민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면서 "이번 '국제 금융교육 주간'을 계기로 국민이 미래를 준비하는 현명한 금융생활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국제 금융교육 주간'에는 '돈을 관리하고 미래를 준비하자'를 주제로 생애주기에 따른 금융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맞춤형 금융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된다.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금융감독원 'e-금융교육센터' 또는 행사 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강길홍기자 slize@dt.co.kr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0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개최하 2023년 OECD 국제 금융교육 주간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0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개최하 2023년 OECD 국제 금융교육 주간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