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권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제공>
서울 강남권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제공>


정부가 1.3 부동산 대책을 통해 서울 4개구(강남·서초·송파·용산)를 제외한 전 지역을 규제지역에서 해제하면서 1월과 2월 서울 아파트 월간 거래량이 지난해 연말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거래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하락 거래 비중이 상승 거래 비중보다 높고,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있어 가격 반등 신호로 해석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1월과 2월 서울 아파트 거래신고 건수는 각각 1408건·1088건으로 지난해 12월(837건)보다 60% 이상 늘었다. 계약일 기준으로 한 달 가량 유예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2월 아파트 거래 건수는 더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이다. 앞서 지난해 하반기 금리 상승이 본격화하면서 서울 월간 아파트 거래 수는 7월 이후 6개월 연속 700여 건을 하회한 바 있다.

서울에서 아파트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곳은 노원구와 강동구, 송파구다. 노원구의 경우 서울 중저가 노후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인데, 지난 1월 출시된 특례보금자리론 등으로 수요자 대출 이자 부담이 줄면서 거래량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송파구의 경우 정부가 지난해 12월 15억원 이상 아파트 주택담보대출을 허용한 뒤 거래수가 늘었고, 강동구는 둔촌주공 재건축 단지 분양 상황이 호전되면서 인근 단지로 아파트 매수 수요가 몰린 것으로 파악된다.

공인중개업계 관계자는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이후 9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가 몰려있는 노원구 아파트 매수 문의가 크게 증가했다"며 "또 송파구에선 15억원 얹저리에 있던 단지들에 주택담보대출이 허용되면서 거래량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서울 아파트 거래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를 가격 반등 신호로 보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 등에 따르면 1월 전국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35%였지만, 하락 거래는 54% 수준으로 상승 거래 비중에 비해 높았다. 2월 들어 하락 거래 비중이 다소 줄긴 했지만 여전히 상승 거래(41%)에 비해 하락 거래(48%) 비율이 높다.

또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기준 2월 3주차 서울 아파트 값은 전주 대비 -0.26% 떨어졌다. 2월 1주차(-0.31%) 대비 하락 폭이 줄어들긴 했지만, 이는 지난해 10월보다는 여전히 큰 하락 폭이다. 정부가 부동산 규제 완화와 특례보금자리론을 통해 부양 정책을 펴고 있음에도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또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6.7로 전주(66.4)보다 0.3포인트(p) 상승했지만, 여전히 아파트를 매수하고자 하는 수요보다 매도하고자 하는 수요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치인 100보다 아래로 내려갈수록 집을 팔려는 사람이 살 사람보다 많다는 의미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부동산규제 완화·특례보금자리론 시행으로 지난 2개월 간 아파트 거래량이 회복세에 접어든 것은 맞지만, 이를 가격 반등 신호로 보기는 어렵다"며 "최근 한국은행이 금리 상승 가능성을 열어둔 점도 아파트 매수세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순원기자 ssun@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순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