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거래절벽에 작년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22% '뚝'
상업·업무용 부동산 등 전국 부동산 매매량·매매금액도 '역대 최저'

금리 상승 등으로 전국 부동산 시장이 '거래절벽'에 몰린 여파로 지난해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가 20% 넘게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더 떨어진 수치이며, 2006년 실거래가지수 조사가 시작된 이래 역대 최대 낙폭이기도 하다. 서울 아파트 뿐만 아니다. 전국 상업·업무용 부동산은 물론 주택, 오피스텔, 토지 등 모든 유형의 부동산 거래가 급격한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16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연간 22.09% 하락했다.

이 지수가 연간 20% 넘게 떨어진 것은 2006년 조사 이래 처음이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10.21%를 뛰어넘는 사상 최대 하락이다.

잠깐 오른 시기도 있기는 했다. 대선 이후 각종 규제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지난해 3월(1.09%)과 4월(1.15%), 6월(0.24%) 반짝 올랐지만, 이 기간을 제외한 달에는 모두 하락했다.

작년초 1% 미만이었던 월별 실거래가 하락률은 빅스텝(기준금리 0.5%p 이상 인상)이 단행된 7월부터는 3~6% 떨어져 낙폭이 빨라졌다. 이어 12월에는 급매물 소진이 빨라지며 낙폭이 3.84%로 전월(6.01%) 보다 감소했지만, 결국 연간 하락률 20%를 넘겼다.

정부의 규제완화 기조에도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등에 따른 집값과 전셋값 하락으로 역대급 거래 절벽이 심화하면서 시세보다 가격을 낮춘 '급급매'가 아니면 팔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도 지난해 16.84% 떨어지며 조사 이래 최대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2021년 실거래가지수가 34.85%, 30.63% 상승하며 과열을 보인 인천과 경기도는 지난해는 반대로 22.73%, 22.27% 하락하며 전년도 상승폭의 3분의 2 이상을 반납했다.

광역시도 중 세종시는 연간 23.04%나 하락하면서 지난해 실거래가 가장 크게 떨어진 곳으로 기록됐다.

이어 인천·경기·서울이 20% 넘게 내렸고 △대구 -18.33% △부산 -13.72% △울산 -12.33% 등도 10% 이상 하락했다.

지수 뿐만 아니라 실제 매매거래량도 반토막이 났다. 부동산플래닛이 국토부 실거래가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부동산 매매거래량은 108만1765건으로 2021년 178만8267건 대비 39.5% 줄었다. 특히 이 중 아파트 매매 거래는 2021년 58만1424건에서 2022년 25만4717건으로 1년만에 56.2%(32만6707건) 가량 급감했다.

연립·다세대주택도 지난해 11만285건 거래가 이뤄지면서 전년(19만4604건) 대비 43.3% 감소했다. 이어 △단독·다가구주택 -38.7% △상업·업무용빌딩 -34.5% △오피스텔 -32.4% △토지 -27.8% △상가·사무실 -26.6% 순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거래금액도 마찬가지다. 전국 부동산 매매거래금액은 2021년 530조2245억원에서 작년 284조3212억원으로 46.4% 줄었다. 특히 아파트 매매거래금액은 74조1811억원으로 2021년(202조2183억원) 대비 무려 63.3%나 감소했다.

이어 △연립·다세대주택 -43.7% △단독·다가구주택 -42% △오피스텔 -40% △상가·사무실 -34.8% △상업·업무용빌딩 -34.1% △토지 -32.3% 순으로 매매거래금액이 급감했다.

이미연기자 enero20@dt.co.kr



연합뉴스
연합뉴스
자료 부동산플래닛
자료 부동산플래닛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