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이재명 대표 구속영장

검찰이 1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여야 대립이 격화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당연한 결과"라며 국회에서 체포동의안을 가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민주당은 "검찰 정권의 정적 탄압"이라고 강력 반발했다.

양금희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구속영장 청구는 이 대표 스스로가 자초했다"며 "자신의 진술 거부는 물론 관련자에 대한 입막음과 증거인멸 시도만 보더라도 당연한 결과"라고 말했다.

양 대변인은 이 대표가 최근 비명(비이재명)계 의원들과 만나는 것을 두고도 "체포동의안 표결에 혹시라도 단일대오가 무너지고 둘렀던 방탄막이 벗겨질까 노심초사하고 있다"며 "온갖 방식으로 개개인이 헌법기관인 소속 의원들을 압박하는 행태에서 이 대표의 불안감이 드러난다"고 지적했다.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도 회의에서 "민주당 의원들에게 진심으로 촉구한다. 양심껏 표결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은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을 소환해 이 대표 엄호에 나섰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구속영장 청구를 조선시대 사화(士禍)에 빗댔다. 그는 "구속영장 청구는 민주공화국인 선진 대한민국에서 결코 있을 수 없는, 있어서도 안 될 현대판 사화"라며 "과거 군사독재 시절 김영삼 총재의 가택연금, 김대중 내란음모죄 적용과 같이 야당 대표를 궐위 상태로 만들어 국정을 자기 맘대로 쥐락펴락하겠다는 정략적 속셈"이라고 비난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김 전 대통령이 내란 예비음모죄로 사형 선고를 받았던 당시 법정 사진과 머리를 깎고 수의를 입은 사진, 교도소에서 책을 읽고 있는 모습을 찍은 사진 등을 제시하며 "김 전 대통령의 예에서 보듯 정적은 죽인다고 죽지 않는다"며 "그를 죽이려 했던 독재자 박정희·전두환의 비참한 최후를 똑똑히 보길 바란다. 역사의 승자는 김대중"이라고 주장했다.

야당의 대표 지도자가 독재정권에 탄압받은 사례와 이 대표의 구속영장 청구와 겹쳐보이게 해서, 이번 구속영장 청구가 사법의 문제가 아닌 정치적 판단의 결과라는 주장을 부각시키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이 대표도 "이승만 정권의 조봉암 사법 살인, 박정희 정권의 김영삼 의원 제명, 전두환 정권의 김대중 내란 음모 조작 사건까지 독재 권력은 진실을 조작하고 정적을 탄압했지만 결국 독재자는 단죄됐고 역사는 전진했다"며 "이 점은 분명한 역사적 진실"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17일 오전 11시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윤석열 정권 검사독재 규탄대회'를 연다. 당 지도부는 이 자리에 당 소속 의원과 전국 지역위원장 전원, 당직자 및 보좌진 1500명이 참석할 것을 전달했다.

이 대표도 참석해 10분 가량 검찰의 영장 청구에 대한 부당함을 호소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당내 정치탄압대책위원장을 맡은 박범계 의원이 영장 청구의 부당성을 설명한 뒤,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에 대한 특별검사(특검) 등을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희서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야당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는 신중을 기했어야 할 일"이라며 "만약 검찰이 이 대표 혐의에 대한 입증을 하지 못한다면 명백한 정치 검찰, 야당 탄압으로 규정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정의당은 불체포 특권은 내려놔야 한다는 일관된 입장을 견지해 왔다"며 불체포 특권 포기 당론을 재확인했다. 이 대표가 영장심사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김세희·권준영기자 saehee0127@dt.co.kr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오전 서울 관악구 조원경로당에서 난방비 지원 점검 방문을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오전 서울 관악구 조원경로당에서 난방비 지원 점검 방문을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세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