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전국 주택 매매 시장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와 아파트 가격 하락 전환으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매입 비중도 줄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거래량을 살펴본 결과, 지난해 전국 주택 거래량은 50만 8790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9만 8581건으로 아파트 매입 비중이 58.7%에 그치며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가장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17년 64.5% △2018년 65.8% △2019년 67.7%로 상승세를 보이다 2020년 73.0%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2021년 65.9%로 내려갔고 지난해에는 50%대로 쑥 주저앉았다.
아파트 매입 비중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이었다. 2022년 서울 주택 매매 거래량 5만 6007건 중 아파트 매매 거래는 1만 5384건으로 아파트 매입 비중이 27.5%을 기록해 2006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경기도 주택 매매 거래량은 11만 361건 중 아파트는 5만 7959건으로 아파트 매입비중이 52.5%에 달했고, 인천은 주택 매매 거래 3만 5346건 중 아파트는 1만 3956건으로 주택 시장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39.5%로 조사됐다.
아파트 매입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빌라 매입비중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작년 전국 빌라 매매 거래량은 12만 9746건으로 전체의 25.5%에 달해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의 빌라 매입비중은 61.6%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금리 인상으로 인해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자 고가인 아파트 매입 비중은 줄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빌라에 대한 매입 비중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미연기자 enero20@dt.co.kr
자료 경제만랩
8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거래량을 살펴본 결과, 지난해 전국 주택 거래량은 50만 8790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9만 8581건으로 아파트 매입 비중이 58.7%에 그치며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가장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17년 64.5% △2018년 65.8% △2019년 67.7%로 상승세를 보이다 2020년 73.0%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2021년 65.9%로 내려갔고 지난해에는 50%대로 쑥 주저앉았다.
아파트 매입 비중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이었다. 2022년 서울 주택 매매 거래량 5만 6007건 중 아파트 매매 거래는 1만 5384건으로 아파트 매입 비중이 27.5%을 기록해 2006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경기도 주택 매매 거래량은 11만 361건 중 아파트는 5만 7959건으로 아파트 매입비중이 52.5%에 달했고, 인천은 주택 매매 거래 3만 5346건 중 아파트는 1만 3956건으로 주택 시장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39.5%로 조사됐다.
아파트 매입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빌라 매입비중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작년 전국 빌라 매매 거래량은 12만 9746건으로 전체의 25.5%에 달해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의 빌라 매입비중은 61.6%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금리 인상으로 인해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자 고가인 아파트 매입 비중은 줄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빌라에 대한 매입 비중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미연기자 enero20@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