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자동차산업이 미래차로 신속하고 유연하게 전환하는데 필수적인 혁신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올해 315억원을 투입해 인재 3735명 양성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2030년까지 전기·수소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를 집중 육성하기 위해 SW 융합인력 1만명을 포함해 총 3만명을 양성하는 정책 일환으로 미래차 인력양성사업 추진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올해 대폭 확대된 인력양성사업은 △융합형 인재양성 △현장 맞춤형 인재양성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 등 3대 분야다.

<산업부>
<산업부>
융합형 인재양성은 자동차가 SDV(Software Defined Vehicle)로 바뀌는 추세에 대응,'자동차+SW'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20개 대학교에서 자동차 SW 및 심화 교육을 실시하고, 미래차 사업재편을 지원하기 위해 재직자 직무전환 교육에 '차량용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현장수요를 감안해 인력양성도 다각화한다. 미래차의 보급 확산에 맞춰 A/S, 정비 등 기능인력의 미래차 정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17억원 수준인 예산을 올해 39억원으로 늘려 2080명을 양성한다.

산업부는 전기차 확대에 따른 현장인력의 고전압 안전 확보를 위해 폐차·해체 분야도 교육을 추진하고, 최근 발생되는 전기차 화재 등에 대한 안전한 대응을 위해 군·소방 등 공공분야 고전압 안전교육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정비 분야 협·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인스트럭터(교·강사)를 양성해 재교육을 통한 인력양성 생태계가 확산되도록 지원한다.

예비취업자 관련 예산은 교육부와의 협업을 통해 151억원으로 확대 편성하고 기존 15개 대학에서 5개 대학을 추가해 총 20개 대학에 960명의 학사급 전문인재를 양성한다. 올해부터 '미래차 보안시스템 전문인력양성사업'을 신규로 추진해 자동차 보안 분야 고급인력을 키운다.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은 고용노동부와 협력해 미래차 분야에 적합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개선·발굴하고 NCS 기반의 산업별 역량체계(SQF)를 개발하는 등 미래차 전환에 따른 직무 및 인력현황 조사·분석을 추진한다.

또한, R&D 예산 등 인력의 질을 고도화하고 관련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관련 예산도 4994억원으로 대폭 확대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미래산업의 주도권은 우수한 전문인재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정부는 자동차와 SW를 융합한 혁신인재를 2030년까지 1만명 양성할 수 있도록 민관의 역량을 결집해서 중점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력양성사업 및 세부 추진과제와 관련한 상세 내용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부는 각 사업별 시행계획 공고 및 수행기관 선정평가를 거쳐 3월부터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3월 중에는 서울, 대구, 광주에서 사업설명회를 개최해 구체적인 사업운영 방향, 지원내용, 지원방법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정석준기자 mp1256@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