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평가연구소는 일회용 마스크의 주원료인 폴리프로필렌이 나노플라스틱으로 잘게 쪼개져 폐 손상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일회용 마스크의 주원료인 폴리프로필렌(PP)이 폐 손상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실험동물과 세포주 실험을 통해 밝혀냈다. 버려진 일회용 마스크에서 발생하는 나노플라스틱이 인체 건강과 자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폐기·관리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안전성평가연구소는 이규홍 단장 연구팀이 전북대 연구팀과 함께 폴리프로필렌이 1마이크로미터(㎛) 이하로 잘게 쪼개져 나노플라스틱이 돼 흡입 노출 됐을 때 폐에 손상을 가져오는 것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폴리프로필렌은 내화학성과 고순도, 낮은 수분 흡수율을 지니며 전기 절연 특성이 뛰어나 일상 생활에서 일회용품으로 널리 쓰이는 플라스틱의 주원료다. 특히 일회용 마스크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폴리프로필렌의 폐기 과정에서 환경오염과 인체 노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구팀은 폴리프로필렌 나노플라스틱을 실험동물의 기도와 인간 폐암 상피세포주에 노출한 후, 폐 손상 기전을 확인했다. 그 결과, 실험동물의 폐에서 염증성 손상이 생긴 것을 확인했고, 선천 면역세포인 호중구성 염증 반응이 관찰됐다.
독성연구 결과에서도 폴리프로필렌 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된 A549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세포 소기관)의 손상이 확인됐고,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신호전달경로(MARK)를 통해 세포 손상과 염증 유발이 일어났다.
이규홍 안전성평가연 흡입독성연구단장은 "이번 연구는 폴리프로필렌 나노플라스틱의 호흡기 노출에 따라 폐 손상이 일어나는 기전을 실험동물과 세포주 실험을 통해 종합적으로 입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독성학 분야 국제 학술지 '입자·섬유 독성학(1월호)'에 실렸다.이준기기자 bongchu@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