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수출은 7년 만에 감소…‘김치 무역수지’도 1년만에 적자 전환
"빨갛다고 중국 것이 아닙니다"…중국 김치왜곡 비판 캠페인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가 김치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만든 디지털 포스터 모습. [반크 제공]
지난해 김치 수입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가격 상승으로 비싼 국산 김치 사용 부담이 커지면서 중국산 김치 수입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한 데 따른 것이다.
'코로나 특수'가 끝나면서 김치 수출은 7년 만에 감소했다. 이로써 김치 무역수지는 1년 만에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25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김치 수입액은 전년보다 20.4% 증가한 1억6940만달러(2092억원)로 사상 최대였다.
수입액 증가율은 2010년(53.8%) 이후 12년 만의 최고다.
김치 수입액은 2019년 1억3천만달러에서 2020년 1억5000만달러로 증가했다가 2021년 중국의 소위 '알몸 김치' 동영상 파문으로 1억4000만달러로 줄었다. 수입 김치는 모두 중국 김치다.
그러나 지난해 다시 20% 넘게 증가하며 1억6000만달러 선을 처음 넘어섰다. 지난해 국산 김치 가격이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 김치를 찾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상과 CJ제일제당의 경우 지난해 '종가' 김치와 '비비고' 김치 가격을 10%가량 인상했다. 지난해 수입 김치의 t당 가격은 643달러로 수출 김치(3425달러)의 18.8% 수준이었다. 중국산 수입 김치가 수출 'K-김치' 가격의 5분의 1도 안 됐다.
지난해 김치 수출액은 1억4082만달러로 전년보다 11.9% 줄었다. 김치 수출액이 줄어든 것은 7년 만이다.
김치 수출액은 지난 2019년 1억499만달러에서 2020년 1억4451만달러로 급증했고 2021년에는 1억5992만달러로 더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외국에서 한국 김치가 면역력을 높이는 건강식품이라는 인식이 확산한 데다 한류 확산 속에 'K-김치' 인기도 더 올라갔다.
하지만 지난해 코로나 사태가 잠잠해지며 특수도 종료돼 김치 수출액도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김치 수출액을 국가별로 보면 일본이 6100만달러로 가장 많고 이어 미국(2911만달러), 홍콩(727만달러), 네덜란드(643만달러), 호주(588만달러), 대만(549만달러), 영국(531만달러) 등 순이었다. 김대성기자 kdsung@dt.co.kr
!["빨갛다고 중국 것이 아닙니다"…중국 김치왜곡 비판 캠페인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가 김치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만든 디지털 포스터 모습. [반크 제공]](https://wimg.dt.co.kr/news/legacy/contents/images/202301/2023012502109919608001[1].jpg)
지난해 김치 수입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가격 상승으로 비싼 국산 김치 사용 부담이 커지면서 중국산 김치 수입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한 데 따른 것이다.
'코로나 특수'가 끝나면서 김치 수출은 7년 만에 감소했다. 이로써 김치 무역수지는 1년 만에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25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김치 수입액은 전년보다 20.4% 증가한 1억6940만달러(2092억원)로 사상 최대였다.
수입액 증가율은 2010년(53.8%) 이후 12년 만의 최고다.
김치 수입액은 2019년 1억3천만달러에서 2020년 1억5000만달러로 증가했다가 2021년 중국의 소위 '알몸 김치' 동영상 파문으로 1억4000만달러로 줄었다. 수입 김치는 모두 중국 김치다.
그러나 지난해 다시 20% 넘게 증가하며 1억6000만달러 선을 처음 넘어섰다. 지난해 국산 김치 가격이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 김치를 찾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상과 CJ제일제당의 경우 지난해 '종가' 김치와 '비비고' 김치 가격을 10%가량 인상했다. 지난해 수입 김치의 t당 가격은 643달러로 수출 김치(3425달러)의 18.8% 수준이었다. 중국산 수입 김치가 수출 'K-김치' 가격의 5분의 1도 안 됐다.
지난해 김치 수출액은 1억4082만달러로 전년보다 11.9% 줄었다. 김치 수출액이 줄어든 것은 7년 만이다.
김치 수출액은 지난 2019년 1억499만달러에서 2020년 1억4451만달러로 급증했고 2021년에는 1억5992만달러로 더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외국에서 한국 김치가 면역력을 높이는 건강식품이라는 인식이 확산한 데다 한류 확산 속에 'K-김치' 인기도 더 올라갔다.
하지만 지난해 코로나 사태가 잠잠해지며 특수도 종료돼 김치 수출액도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김치 수출액을 국가별로 보면 일본이 6100만달러로 가장 많고 이어 미국(2911만달러), 홍콩(727만달러), 네덜란드(643만달러), 호주(588만달러), 대만(549만달러), 영국(531만달러) 등 순이었다. 김대성기자 kdsung@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