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보 서비스업체 직방은 앱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0명 가운데 거의 8명이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고 2일 밝혔다.
직방이 앱 사용자 3089명을 대상으로 '2023년 거주지역의 주택 매매가격을 어떻게 예상하냐'고 물어본 결과 전체 응답자 중 77.7%가 '하락할 것'이라 답했다. '상승할 것'이라 본 응답자는 10.2%에 그쳤고, '보합' 응답은 12.1%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81.5%)과 지방 5대 광역시(80.7%)에 거주하는 응답자의 하락 전망 응답 비율이 80% 이상으로 높았고 경기(74.8%), 인천(76.2%), 지방(75.3%)은 70%대를 보였다.
하락 예상 이유로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58.2%)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경기침체 지속(19.5%),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16.4%)이 뒤를 이었다.
올해 전셋값도 응답자 10명 중 7명꼴(69.5%)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보합은 17.4%, 상승 13.1%에 그쳤다. 전셋값 하락 전망 이유로는 '전세 대출 이자 부담으로 인한 전세 수요 감소'가 48.7%로 가장 많았다. 최근 몇 년간 가격 급등으로 현재 가격이 높다는 인식(18.2%),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12.6%), 갭투자 관련 전세 매물 증가(11.1%)도 주요 이유로 꼽혔다.
월세는 상승(36.6%)과 하락(36.1%) 전망이 팽팽했다. 수도권 거주 응답자는 상승 전망이 많았고 5대 광역시와 지방 거주 응답자는 하락 전망이 우세해 차이를 보였다. 월세 하락 전망 이유로는 '월세 물량 증가'가 52.7%로 가장 많았고, 상승 전망 이유로는 '금리 인상에 의한 전세대출 부담으로 월세 수요 증가'(55.6%)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