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압사 사고 두고 ‘못난 모습들이 마음까지 춥게 한다’는 둥…본인 뒤틀린 심사 풀어내” “일국의 대통령까지 지냈으면 최소한 신년 메시지만큼은 정제할 줄 알아야” “文의 악담은 품격이 떨어지는 건 둘째 치고, 도저히 본인이 쓸 수 없는 언사” “허접한 부동산 대책 수십번 남발해 주거 난민 만든 장본인은 누구인가” “역대 대통령 중 가장 북한 앞에서 비굴했던 대통령은 또 누구인가”
문재인 전 대통령(왼쪽)과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 <권성동 의원실, 더불어민주당 제공>
문재인 전 대통령 신년사 연하장. <문재인 SNS>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문재인 전 대통령을 향해 악담이 가득한 신년사을 내놨다고 평가하면서 "부디 자중하시며 도를 넘지 마시길 바란다"고 신랄한 비판을 쏟아냈다.
권성동 의원은 3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문 전 대통령이 악담이 가득한 신년사를 내놓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권 의원은 "이태원 압사 사고를 두고 '못난 모습들이 마음까지 춥게 한다'는 둥, '경제는 어렵고, 민생은 고단하고, 안보는 불안하다'는 둥, '새해 전망은 더욱 어둡다'는 하며 본인의 뒤틀린 심사를 풀어냈다"고 날을 세웠다.
이어 "일국의 대통령까지 지냈으면 최소한 신년 메시지만큼은 정제할 줄 알아야 한다. 어제 이명박 전 대통령은 자택으로 돌아오면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기도하겠다고 했다"며 "이런 것이 대통령의 품격"이라고 이명박 전 대통령과 문 전 대통령을 비교했다.
그러면서 "문 전 대통령의 악담은 품격이 떨어지는 것은 둘째 치고, 도저히 본인이 쓸 수 없는 언사"라며 "사고 앞에서 못난 모습을 보인 당사자가 문 전 대통령 자신이다. 해양수산부 공무원 월북 조작 사건에 대해 여전히 비겁한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권 의원은 "집권 5년 동안 경제, 민생, 안보 등 모든 것을 망친 당사자 역시 문 전 대통령"이라며 "국가부채 1천조 시대는 누가 열었나. 몰상식한 소주성(소득 주도 성장)을 경제기조로 채택한 정부는 어디였나"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허접한 부동산 대책을 수십번 남발해 주거 난민을 만든 장본인은 누구이며, 역대 대통령 중 가장 북한 앞에서 비굴했던 대통령은 또 누구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그는 윤석열 정부는 문재인 정부의 잘못을 바로 잡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도 했다. 권 의원은 "문 전 대통령이 망친 나라를 윤석열 정부가 정상화하는 중"이라며 "그러니 저급한 훈수는 그만두시길 바란다. 요새 표현대로 '어그로'를 끌면서 어떻게 잊혀진 대통령이 되겠나"라고 맹비난했다.
끝으로 권 의원은 "솔직히 문 전 대통령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보다 대한민국에 끼친 해악이 훨씬 크다"면서 "이 대표가 '권력형 비리'라면, 문 전 대통령은 '권력형 망국' 수준입니다. 이 대표가 나라'에서' 해먹었다면, 문 전 대통령은 나라'를' 해먹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비판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렸다.
앞서 전날 문 전 대통령은 전날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을 통해 공개한 연하장에서 "유난히 추운 겨울이다. 치유되지 않은 이태원 참사의 아픔과 책임지지 않고 보듬어 주지 못하는 못난 모습들이 마음까지 춥게 한다. 경제는 어렵고, 민생은 고단하고, 안보는 불안하다. 새해 전망은 더욱 어둡다"고 사실상 현 정부를 직격했다.
이에 대해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국민을 갈라치기하고 갈등을 조장하는 데 앞장섰던 대통령답게 퇴임 후 보낸 연하장에도 갈등과 분열을 조장하는 못된 습관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고 비난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과제를 사사건건 발목잡고 경제회복의 마중물을 차단하기 바쁘며,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을 정쟁으로 이끌어 국민의 슬픔을 철저히 이용한다"면서 "대한민국 경제를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은 문 전 대통령의 친정인 바로 민주당"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문 전 대통령은 참사의 아픔을 운운하기 전에, 아비규환의 현장을 홍보 무대로 활용한 자당 의원에 대해서는 왜 침묵하느냐"며 "존경받을 권리마저 스스로 차 버린 전직 대통령의 비겁한 위선이 올해의 마지막 날을 씁쓸하게 한다"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문 전 대통령이 책임지지 않고 보듬어주지 못한 풍산개 곰이와 송강이의 겨울이 어느 해보다 추울 것 같다"고 에둘러 비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