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임혜숙 장관 주재로 '제36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안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군집과 유전체의 합성어)은 인체, 동·식물, 토양, 해양 등 모든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군과 관련 유전정보를 통틀어 의미하는 것으로, 산업, 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방위적으로 파급될 수 있는 바이오 전략기술이다.
과기정통부는 9개 부처와 합동으로 전주기·전영역에 대한 범부처 통합 연구지원체계를 구축하고, 마이크로바이옴 신산업 육성 및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를 집중 지원한다.
이를 위해 부처별 지원 영역을 명확히 중복 지원 문제를 해소하고,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국가적 방향성 정립과 산업 육성을 위한 범부처 프로젝트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이니셔티브'를 기획·추진한다. 이 프로젝트에는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총 1조1506억원을 투입한다.
아울러, 마이크로바이옴 신산업 창출을 위한 법·제도 마련과 시험생산 지원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 구축·활용과 특화 전문인력 양성 등으로 산업 생태계 조성을 돕는다.
이날 정책심의회는 코로나 팬데믹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에 대응하기 위한 10개의 바이오 규제 개선과제를 논의하고, 소관부처에 개선을 제안했다. 이 가운데 유전정보 등 민감 정보의 기증 동의절차가 연구현장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검토했다.
아울러, 국내에서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이 어려워짐에 따라 위해도가 낮은 분야에 대해선 6개월의 참가 제한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과기정통부는 내년 상반기 '제4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마이크로바이옴을 국가 차원에서 통합 정책으로 추진하고, 산업 생태계 성장 및 활성화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바이오 연구와 산업 현장에서 느끼는 규제도 지속적으로 발굴, 개선하는 데 역량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