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탈 원자력발전) 기조가 멈춰 세운 신한울 3·4호기 원전 건설 재개,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조기 건설을 함께 공약하며 지역경제 현안 공략에 집중했다.
29일 윤 후보는 지역순회 첫 일정으로, 지난 2017년 탈원전 정책으로 공사가 중단된 경북 울진군의 신한울 3·4호기 건설현장을 찾아 '미래에너지 살리는 공약'을 발표했다.
윤 후보는 현장을 가리켜 "초법적·비이성적인 정책이 국가 경제와 국민의 삶을 얼마나 위태롭게 만드는지 생생히 보여주는 상징적 장소"라며 "원전 산업의 메카였던 창원, 신한울 3·4호기가 건설되던 울진을 비롯한 동남권 지역경제는 바닥을 모른 채 가라앉고 있다. 연간 1조원 이상의 부가가치가 사라지고, 2000여개 중소기업들이 폐업의 벼랑 끝에 내몰렸다. 수많은 일자리가 공중분해됐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반드시 우리 원자력을 세계 최고로 되돌려 놓겠다"며 5가지 정책 기조를 밝혔다.
△탈원전 전면 재검토 및 신한울 3·4호기 건설 즉각 재개 △한·미 원자력 동맹 격상 및 원전 수출로 2030년까지 고급 일자리 10만개 창출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원자력 적정 발전비중(30%) 유지 △원자력 수소와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적극 지원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정치적 독립과 전문성 강화로 원전 안전 제고 등이다. 윤 후보는 문재인 정부 질타에 그치지 않고 '감(減)원전'을 표방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향해 "탄소중립 문제가 있으니 이제 와서 탈원전 폐기란 말은 못 하고 애매하게 조어를 한 모양"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윤 후보는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비롯해 총 10가지의 TK 지역 발전 공약을 함께 발표하며 최근 흔들리는 TK 표심을 굳히기 위한 전략을 총동원했다. 이 중 대표 공약으론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을 조기에 건설해서 글로벌 공항경제권의 핵심축으로 성장시켜 나가겠다"며 "통합신공항과 연계된 광역철도와 고속도로를 차질없이 건설해서 '사통팔달 교통망 SOC(사회간접자본)'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와 함께 SMR 특화 국가 산업단지, 경주와 포항에 가속기 기반의 연계 첨단 연구 산업단지를 각각 조성한다는 구상을 내놨다. 일명 '경북 푸드밸리' 조성, 농산어촌 자원 기반 '경북 케어 팜 G-밸리' 조성, 낙동강 문화관광 르네상스 사업, 포항 '영일만 대교' 건설 및 대표 랜드마크화, TK 광역경제권 형성 지원 등도 포함됐다.
윤 후보는 30일 오전 대구를 직접 찾아 지역 공약을 추가로 발표하고 지역기자 간담회, 대구 선대위 발대식 일정을 소화한다. 이 과정에서 그가 지난 24일 특별사면이 결정된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입장을 현지에서 어떻게 밝힐지가 주목된다. 윤 후보는 이른바 '국정농단 의혹' 특검 수사를 맡은 데 이어 문재인 정부 서울중앙지검장·검찰총장을 지내는 동안 탄핵 된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구속 과정을 지휘했었다. 그는 28일 "(검사) 직분에 의한 일이었다고 하더라도 정치적·정서적으로는 대단히 미안한 마음을 인간적으로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우리공화당 등 강성 친박(親박근혜) 성향 유권자들이 윤 후보를 규탄하며 맞부딪힐 우려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기호기자 hkh89@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