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온실가스 감축(NDC) 맞춰 30조원 추가
재생에너지 수용 위한 전력망 계통 안정화 추진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맞춰 안정적인 전력계통 운영을 위한 전력망 보강에 2030년까지 총 78조원의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최적의 전력망 건설을 위해 투자 규모를 산출하고, 이를 적기에 추진할 계획이다.

29일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서울 한전아트센터에서 박기영 2차관 주재로 '전력계통 혁신 간담회'를 열어 이같은 내용의 전력계통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혁신안에 따라 정부는 장기간 소요되는 송전망 건설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투자를 확대한다.

지난 9월 수립된 전력망 계획인 제9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에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 조치를 반영한 2030년까지의 전력망 보강계획을 내년 상반기 중 마련할 계획이다.

전력망 보강 투자 계획을 세워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때 관련 내용을 최대한 반영시킬 계획이다.

정부는 잠정 전력망 투자 규모를 총 78조원으로 추산했다. 계획된 송·변전 설비투자 23조4000억원 및 배전 설비투자 24조1000억원에 NDC 상향에 맞춰 30조원을 더했다.

대규모 풍력발전단지는 송전사업자가 공동접속설비를 사전에 구축해 단지 준공 즉시 계통망에 연계하도록 한다.

또한 계획된 송·변전설비의 건설 지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인근 주민에 지원 혜택을 늘리고, 전원개발촉진법 등 관련 법령 개정으로 건설 절 차를 개선할 방침이다.

정부는 재생에너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전력망을 유연하게 운영해 계통 안정화에도 힘쓰기로 했다.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가 가능한 통합관제시스템도 2025년까지 구축한다.

원활한 계통 연계를 위해 필요시 배전망 접속용량을 우선 극대화한 뒤 나중에 제어·관리하는 '선(先) 접속 후(後) 제어' 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재생에너지 설비 기준을 포함하는 전력계통 운영규범을 재정립과 계통운영 전반을 관리·감독하는 기구를 마련하는 등 거버넌스 개편도 검토한다.

재생에너지 변동성 제어에 필요한 시장 제도의 단계적 도입, 연구개발, 인력양성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박 차관은 "탄소중립 실현 과정에서 재생에너지를 수용하기에 현재 전력계통은 많은 도전과제에 직면했다"며 "최적화된 전력망 투자와 계통 운영 방안을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29일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에서 열린 전력계통 혁신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29일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에서 열린 전력계통 혁신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