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29일 2·4 대책에 따라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선도후보지로 추진 중인 증산4·신길2·방학역·연신내역·쌍문역동측·쌍문역서측·부천원미 등 7곳을 오는 31일 본지구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증산4구역이 4112가구로 규모가 가장 크다. 부천원미(1678가구)와 신길2(1326가구), 쌍문역 서측(1088가구), 쌍문역 동측(646가구), 연신내역(427가구), 방학역(409가구)이 뒤를 잇는다. 7개 지구의 도심복합사업이 완료되면 서울 도심에 1만가구 규모의 주택이 공급된다.
도심복합사업은 도심 내 주택공급을 공공이 참여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부담 가능한 가격의 주택을 획기적인 속도로 대량 공급하고, 원주민 내몰림을 방지하는 등 공익성도 확보하는 새로운 주택공급 모델이다.
정부는 2·4 대책 발표 이후 현재까지 16만가구 규모에 해당하는 157곳의 도심 내 후보지를 선정했다.
이는 대규모 택지사업로 조성된 분당·판교·광교 등 신도시 3곳에서 공급된 주택을 모두 합친 수준이다.
특히 16만가구 가운데 서울 9만가구를 포함해 14만가구가 수도권 역세권 등에 입지해 있고, 나머지도 광역시 도심에 집중돼 있어 도심 내 대규모 주택공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이번에 본 지구로 지정하는 7개 구역의 주민 분담금은 민간 정비사업에 비해 30% 이상 낮은 수준이다.
일반에 공급하는 분양주택도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해 인근 시세 대비 60∼70% 수준의 가격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주민에게 현물보상으로 우선 공급하는 주택 가격은 전용 84㎡의 경우 5억7000만∼7억6000만원으로 추정된다. 세대별 평균 분담금도 8000만∼2억4000만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남영우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도심복합사업은 현재까지 26곳에서 3분의 2 이상 주민동의를 확보하고 있다"며 "주민 동의가 높은 다른 후보지에 대해서도 지자체 협의, 주민 설명회 등 지구 지정 절차를 신속히 진행해 내년에는 추가로 5만가구 규모의 지구 지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은희기자 ehpark@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