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자동차 분야 예산이 올해 대비 30% 이상 늘어난 4709억원으로 확정됐다. 정부는 전기·수소·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산업 육성을 위해 관련 기술개발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회 의결을 통해 내년도 자동차 분야 예산이 4709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14일 밝혔다. 내년 예산 규모는 올해(3615억원)보다 30.2%(1094억원) 증액된 것이다. 산업부는 미래차 기술 경쟁력 확보와 사업 전환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자동차 분야 투자 확대 기조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자동차 예산은 2019년 2053억원, 2020년 3167억원, 2021년 3615억원 등 매년 증가 추세다.

세부적으로 보면 미래차 기술 연구·개발(R&D)에 전체 예산의 대부분인 4157억원이 편성됐다.

전기차는 1회 충전 주행거리를 2025년 600㎞까지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시스템과 주행효율 향상 등 핵심 기술 개발을 지속해서 추진한다. 수소차 분야에선 수소 상용차 핵심 부품 사업에 90억원, 수소모빌리티 확대를 위한 개방형 연료전지시스템 설계검증 플랫폼 기술개발에 48억원을 각각 신규 편성하고 수소 상용차용 핵심부품 국산화와 다양한 모빌리티에서 연료전지를 활용하는 개방형 플랫폼 개발을 추진한다.

전기·수소차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하이브리드차 부품 성능 고도화도 지원한다. 스포츠유틸리티차(SUV)용 하이브리드 시스템 고도화 기술 개발에 37억원이 책정됐다. 전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에 발맞춰 환경규제 대응 기술개발과제(그린카)에도 220억원을 신규 편성했다.

자율주행차 분야에서는 2027년 완전 자율주행 세계 최초 상용화를 목표로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에 362억원, 미래차 디지털 융합 산업 실증 플랫폼 구축에 96억원, 자율셔틀 인포테인먼트 기술 개발 및 서비스 실증에 78억원을 각각 편성하고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를 본격 추진한다.

현재 수급난을 겪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 분야의 공급망 안정을 위해 48억원 규모의 수요기반형 고신뢰성 자동차 핵심기술개발 사업도 신설했다. 미래차 준비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 부품업체 사업 전환을 돕기 위한 '전환기 대응 R&D'도 신규 추진한다.

산업부는 신규 추진 사업과 관련해선 내년 1월 중 산학연을 대상으로 사업별 선정 공고를 내고 4월 중 예산 조기 집행에 나설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급격한 자동차 시장 변화 속에서 우리 기업들이 미래차 시장에서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핵심기술 확보와 인프라 구축 등의 정책적 지원을 지속해서 하겠다"고 말했다.은진기자 jineun@dt.co.kr

26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2021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아빠와 함께 전시장을 찾은 아이가 자율주행 차량을 구경하고 있다. 연합뉴스
26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2021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아빠와 함께 전시장을 찾은 아이가 자율주행 차량을 구경하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