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원은 폐암의 성장과 전이를 억제하는 'TM4SF4 항체항암제 후보물질'을 글로벌 신약 기업에 이전해 새로운 암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원자력연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폐암의 성장과 전이를 억제하는 'TM4SF4 항체항암제 후보물질'을 글로벌 신약 기업에 이전해 새로운 암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원자력연 제공
폐암세포만 골라 치료하는 후보물질이 새로운 항체항암치료제로 상용화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폐암 세포를 표적하는 'TM4SF4 항체항암제 후보물질'을 미국 알곡바이오에 기술이전했다고 14일 밝혔다.

암 환자에 사용하는 표적약물치료이나 방사선치료는 내성이 있으면 효과를 보지 못하지만, 항체항암치료제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암세포만 골라 치료해 각광받고 있다.

김인규 박사 연구팀은 암줄기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TM4SF4' 단백질이 폐암 성장과 전이에 관여하고, 방사선치료 저항성을 유발하는 물질임을 밝혀냈다.

이어 연구팀은 TM4SF4의 특정 항원을 기반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생쥐 단일클론항체를 인간화 항체로 전환해 면역거부 반응이 없는 'TM4SF4 항체항암제 후보물질'을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인간화 항체는 쥐 등 동물을 이용해 만든 항체를 인간에게 투입할 경우 생기는 면역거부반응을 막기 위해 동물에서 개발된 후보 항체를 인간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교체한 것이다.

이 후보물질은 암줄기세포의 표적항체로, 암세포만 찾아 치료하고 방사선 치료를 진행할 때 암세포가 방사선에 절반 이상 더 잘 반응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기술을 이전받은 알곡바이오는 후보물질에 대한 전임상과 임상시험을 한국과 미국에서 진행하고, 원자력연은 의약품 허가 취득을 위한 기술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15억원의 연구비를 투입해 추가 R&D도 진행할 방침이다.

한편 알곡바이오는 국내 코스닥 기업인 케이피에스의 미국 현지법인으로, 글로벌 신약 개발을 위해 지난해 8월 미국 델라웨어주에 설립됐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박원석(왼쪽 세번째) 한국원자력연구원장과 김성철(왼쪽 네번째) 알곡바이오 대표는 지난 13일 '암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술실시 계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원자력연 제공>
박원석(왼쪽 세번째) 한국원자력연구원장과 김성철(왼쪽 네번째) 알곡바이오 대표는 지난 13일 '암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술실시 계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원자력연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