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실보상 추경 이견 노출에
코로나 대응책 중복 발표도
조직 거대해지며 곳곳 혼선
金 "원희룡으로 창구 단일화"

13일 김종인 국민의힘 총괄선대위원장이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13일 김종인 국민의힘 총괄선대위원장이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국민의힘 선대위 최고위 지도부가 정책 현안 입장을 두고 서로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김종인 총괄 선거대책위원장 정책 발언이 각각 다르고, 이준석 당 대표 말도 달라 내부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정책은 물론 선대위 조직까지 산만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김 총괄위원장은 "원희룡 정책총괄본부장으로 창구를 단일화해야 한다"고 내부에 경고장을 던졌다.

김 총괄위원장은 13일 국회에서 열린 선대위 회의에서 "정책을 개발해 공약으로 세우겠다는 부서가 너무 많다"며 "정책은 원희룡 정책총괄본부장이 종합해 한 목소리로 나가도록 창구를 단일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각기 다른 곳에서 이야기하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점을 각별히 유의해달라"며 "아침에 윤 후보와 논의했는데, 절대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 달라고) 후보도 말했다"고 했다.

당초 김 총괄위원장은 윤 후보 선대위에 합류하면서 윤 후보 주변의 '파리떼'를 제거하고, 정예 실무진으로 운영되는 캠프를 지휘해줄 인물로 꼽혔다. 하지만 최근 국민의힘 선대위에는 외부 인재 영입 등 급격히 몸집을 불리면서 역할과 기능이 겹치는 산하 조직이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다.

특히 지난 12일에는 캠프 내 선대위 산하 코로나위기대응위원회가 오전엔 '공공병원의 전면적인 코로나19 환자 병상 전환'을 주장했는데, 오후에 가선 정책총괄본부가 '공공의료기관의 전면적인 병상 전환'을 촉구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조율이 되지 않아 비슷한 정책이 복수의 부서에서 각각 발표된 셈이다.

여기에 중도·호남을 겨냥하는 김한길 전 민주당 대표의 새시대준비위원회와 박주선 공동선대위원장의 동서화합미래특별위원회, 청년 조직 등이 복수로 들어서며 조직이 거대해져 민첩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특히 '소상공인 100조' 추가경정예산(추경) 지원 문제와 관련해 윤 후보와 김 위원장이 다른 목소리를 내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정리하는 해프닝도 있었다. 김 위원장은 같은 회의에서 "추경을 어떻게 할지는 (이 후보가) 정부와 상의를 해야 한다"며 "우리가 이야기한 '(손실보상) 100조원'이라는 기금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집권했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를 국민에게 제시하기 위한 것인데, (이 후보는) 그것을 여당 후보와 협상하려는 형태로 착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윤 후보는 지난 9일 손실보상과 관련한 추경 입장을 묻는 질문에 "빠른 편성이 필요하다"며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처럼 12월 임시국회에서 빨리 처리하자고 답한 것에 김 총괄위원장이 제동을 걸면서 입장을 정리한 것이다.

이준석 당 대표도 이날 모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우리 후보도 곧 3개월 뒤부터는 대통령 당선자로서 실질적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해야 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대해서 미리 언급하는 것이 꼭 나쁘지 않다"면서도 "추경 같은 경우에는 김종인 위원장의 말이 옳다라고 봐야 될 것 같다"고 했다.

이처럼 이 대표와 김 총괄위원장이 윤 후보와 결이 다른 발언을 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후보는 표를 위해 말할 뿐, 어느 후보가 되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우후죽순 난립하는 빈공약을 한 차례 거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홍성걸 국민대 행정학과 교수는 100조 추경 논의와 관련해 "608조 규모인 내년 예산안조차도 50조원 이상 국채를 발행하고 이자만 20조원을 갚아야 하는 구조인데, 정치권에서는 100조를 쉽게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다"며 "확장 재정을 펴겠다면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논의부터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국가 채무를 더 증가하는 것은 그 자체로 젊은 세대에게 엄청난 짐을 안겨주는 일이고, 한국은 일부 대기업에 의존하는 형태여서 세계 경제가 자칫 삐끗하는 날에는 수출이 한꺼번에 꺾일 수 있다"며 "지출구조정을 통해 예산을 만드는 게 아니라면 우선순위에 따라 빈 공약은 다 빼고 현실적으로 시급한 우리 경제 능력과 재정 능력, 향후 성장 잠재력을 재고하는 게 국가 운영"이라고 말했다.

임재섭기자 yj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임재섭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