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부터 4주 동안 사적모임 허용 인원이 수도권은 최대 6인, 비수도권은 8인까지로 줄어든다 . 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 5000명대를 넘나들고, 오미크론 변이까지 유입된 상황에서, 최악의 상황은 막아내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그러나 연말 송년회 모임, 여행 등이 위축되면서 일상회복 전환과 함께 모처럼 연말 특수를 기대했던 자영업자를 비롯한 소상공인의 고통이 고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안전재난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는 앞으로 4주 간 방역의 둑을 탄탄히 보강하는데 집중하겠다"며 이같은 내용의 방역조치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현재까지는 수도권에서 최대 10인, 비수도권 최대 12인의 인원 제한이 적용 중이지만, 내주부터는 수도권은 6명, 비수도권은 8명까지만 허용된다.
김 총리는 또 "일상에서 감염위험을 낮추기 위해 '방역패스'를 전면적으로 확대 적용하고자 한다"며 "식당과 카페를 포함한, 대부분의 다중이용시설에 적용하며, 실효성 있는 현장 안착을 위해 1주일의 계도기간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김 총리는 "방역패스 확대 시행과정에서 전자출입명부 설치 비용 등이 영세한 업체에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조금이라도 이러한 부담을 덜어 드릴 수 있는 방안을 관계부처간 논의를 거쳐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방역패스 적용은 내년 2월부터 적용한다.
세부 방역대책은 중대본 회의가 끝난 뒤 브리핑을 통해 발표된다. 김 총리는 "오늘 이후로도 정부는 모든 방역상황을 수시로 평가하면서 필요할 경우 언제든지 보다 강력한 방역강화 조치를 그때그때 신속하게 취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부터 한달 간을 '특별방역점검기간'으로 운영한다. 총리실도 별도의 지원단을 구성, 방역 상황을 관리하기로 했다.
김부겸 국무총리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