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은 그나마 개인적 인품이라도 괜찮지, 이재명이나 윤석열 상상해봐라” “이런 꼴이 된 건 결국 다들 거대양당 구도 내에서만 생각했기 때문” “결국 우리 스스로가 거대양당이 아닌 선택을 하면서 양당구도 무너뜨려야”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이장규 전 노동당 정책위원장. 이장규 페이스북, 연합뉴스
이장규 전 노동당 정책위원장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중 누가 되든 너무 지지율 격차가 많이 나는 건 선거 이후에 별로 안 좋다고 판단해서 요 아래 글도 올렸지만, 사실 실제 현실은 다음 둘 중 하나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18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장규 전 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 당선, 하지만 민주당은 의회에서 과반, 윤석열이 뭘 하든 민주당은 반대, 그럼 윤석열은 민주당 핑계로 어차피 잘 모르는데 아무 것도 안 하기. 적대적 공생과 문재인 시즌 2"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전 위원장은 "이재명 당선, 의회까지 잡은 민주당과 이재명의 기고만장, 국힘의 무능, 인기 끌겠다 싶으면 아무 정책이나 막 던지기, 또 다른 조국 등이 난무, 내로남불과 문재인 시즌 2"라고 주장했다.
그는 "둘 중 누가 되어도 문재인 시즌 2일 것이다. 문재인은 그나마 개인적 인품이라도 괜찮지, 이재명이나 윤석열 상상해봐라"고 날카롭게 대립각을 세웠다.
이어 "이런 꼴이 된 건 결국 다들 거대양당 구도 내에서만 생각했기 때문"이라며 "사람들 스스로가 양당만 생각하는데, 그 양당의 정치인들 입장에선 겉으로만 싸울 뿐 실제로는 서로 기득권 갈라먹고 공생하는 게 훨씬 나은 선택이니까"라고 푸념했다.
그러면서 "결국 우리 스스로가 거대양당이 아닌 선택을 하면서 양당구도를 무너뜨려야 한다"면서 "그게 실제로 누가 되든 이후에 문재인 시즌 2를 만들지 않기 위해서라도 필수적"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최근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후보와 윤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다. 특히 이 후보의 '안방'이라 불리는 경기도에서도 윤 후보에게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 후보는 당 내 경선 이후 '컨벤션 효과'를 등에 업고 지지율 1위를 지키고 있다. 반면 이 후보의 지지율은 대장동 개발·특혜 의혹 여파 등으로 박스권에 갇힌 모습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발표한(TBS 의뢰·조사기간 지난 12, 13일 조사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9명·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 포인트·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대통령 후보 여론조사를 보면, 윤 후보의 지지율은 45.6%로, 이 후보(32.4%)를 13.2%포인트 앞섰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윤 후보는 호남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이 후보를 앞선 가운데 서울(52.5%)과 대구·경북(54.1%), 부산·울산·경남(54.5%)에선 과반을 넘겼다. 이 후보는 광주·전라(58.1%)에서 우세했다. 특히 이 후보가 경기도지사를 지냈던 경인권(인천·경기 윤석열 41.8%, 이재명 35.1%)에서도 윤 후보가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여론조사업체 피플네트웍스리서치(PNR)가(뉴데일리·시사경남 의뢰·조사기간 지난 12∼13일·조사대상 전국 1002명·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도 이와 유사했다.
윤 후보는 전체 48.3%로 이 후보(32.2%)보다 16.1%포인트 앞서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주와 비교했을 때 윤 후보는 2.5%포인트, 이 후보는 1.9%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두 후보 간 격차는 전주의 15.5%포인트에서 0.6%포인트 더 벌어졌다.
이 여론조사 역시 호남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윤 후보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인천의 경우에도 윤 후보가 49.9%를 기록, 이 후보(30.8%)에게 19%포인트 이상 격차로 앞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