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캠프와 선대위 인선 갈등설에 "후보가 물어 2~3명 제안한 것뿐" 선대위 대변인에 尹측 김병민·이양수 인선…李 "지도부 임명아냐" 선긋기 20일 김종인 총괄 선대위 출범 주장한 李, 김병준 투톱설 거리두고 "신속 구성"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11일 윤석열 대선후보와의 대선 선거대책위원회 인선 관련 힘 겨루기, 갈등 관측이 확산 된 가운데 "자꾸 갈등을 증폭시키려고 살생부부터 시작해서 참 어울리지 않는 단어가 등장하는데, 그런 거야 말로 의도적인 위기감 고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당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직후 기자들을 만나 "언론에서 누가 누굴 추천했다, 누가 누굴 비토했다고 하는데, 저는 비토한 사람 단 한 명도 없다"면서 "후보가 실무적으로 몇 가지 묻길래 2~3명 제안한 것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처음부터 대선 후보가 당의 선대위 구성 최고 결정권자라고 말해왔다. 그와 별개로 선거 승리 위해 여러 제언들이 오가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윤 후보는 이날 최고위 의결을 거쳐 사실상 당연직 인선으로 이 대표를 상임선대위원장, 김기현 원내대표를 공동선대위원장에 임명했다. 이와 함께 경선캠프 대변인이던 김병민 전 비상대책위원, 재선급 이양수 의원을 선대위 대변인으로 임명했다. 일찍이 경선캠프 종합지원본부장이던 4선 중진 권성동 의원을 후보 비서실장으로 임명한 데 이어 친윤(親윤석열)계 인사로 선대위 대변인단 채비에 나선 셈이다.
'대변인단 인선이 모두 윤석열 캠프 측 인사들인데 당초 전면 재구성 (요구)발언과 다르지 않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이 대표는 "어차피 윤 후보가 공식활동을 할 것이다. 기존 당 지도부보단 대변인단을 임명한 것"이라며 "당무지원, 후보지원 등 추가 인력소요가 있기도 한데, 이는 당연한 절차"라고 했다.
이달 내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총괄선대위원장으로 하는 선대위가 출범할지 여부도 이목을 끈다. 윤 후보 측은 늦어도 내달 1일까지 선대위를 출범 시키겠다는 입장이지만, 이 대표는 대선기획단을 건너 뛴 조기 출범과 함께 김종인 전 위원장에게 전권을 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날도 이 대표는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선대위 출범을 서둘러야 한다"며 "현실적으로 2주 정도의 준비 기간을 둬서 20일경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윤 후보 측이 영입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진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과 김종인 전 위원장을 선대위 '투톱'으로 중용하는 시나리오에 대해선 "김종인 전 위원장과 상의가 됐을 거라고 보진 않는다"며 "윤 후보와 김병준 전 위원장에 대한 신뢰가 상당한 것으로 아는데, 그건 후보가 조정해야 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김종인 전 위원장은 과거에 전권을 부여받았던 상황에서 굉장히 좋은 성과들을 냈다. 가장 대표적인 게 지난 서울시장 보궐선거"라며 "그런데 전권이 아니라 일부 권한만 부여받은 상황, 예를 들어 지난 총선 때는 김종인 전 위원장이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재차 '김종인 띄우기'에 나섰다.
그는 "김종인 전 위원장의 구상이라는 걸 실현시키려면 상당한 권한을 줘야 하는 건 맞다"며 "아마 (윤석열) 후보도 그렇게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다. 고비 때마다 김 전 위원장의 조언들을 많이 구했었기 때문에 능력치에 대한 의문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국회 취재진으로부터는 '20일에 김 전 비대위원장이 총괄선대위원장으로서 취임하느냐'는 질문엔 "우리 당 선대위를 빨리 발족하는 것이야말로 상대 당(더불어민주당) 선대위에 대응하는 기본 조건"이라며 "저희가 신속한 선대위 구성을 자신하는 건 호사가들 말과는 달리 이견이 적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다. 신속하게 선대위를 구성하는데에 문제 없을 것이라고 본다"고 우회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