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요소수 품귀 사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단기적으로는 중국과의 외교적 협상, 장기적으로는 수입선 다변화 등 투트랙 해법을 모색하기로 했다.
대선후보인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는 "특사단을 파견해서라도 최대치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문했고, 윤호중 원내대표는 "당에 긴급대응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서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민주당은 7일 국회에서 요소수 부족사태와 관련한 긴급점검회의를 열었다. 이 후보는 이날 "요소수 부족 상황이 여전히 악화하는 측면이 있다"면서 "요소수 문제는 공급라인이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중국 의존도가 너무 높아, 중국의 상황이 어려워져서 우리가 연쇄적으로 어려움 겪는 상황인 것 같다. 일부에서는 요소수 공급선이 다변화하지 못하고 독점되면서 생기는 일종의 '차이나 리스크'라 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이어 "우리가 수입선 다변화나 국내에서 최소한의 생산기반을 확보하는 문제까지 고민하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면서 "당정이 협의해서 지금 당장에 급한 일시적 공급부족 문제는 (중국에) 특사단을 파견하는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최대치의 대책을 강구하는 게 좋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후보는 "근본적인 장기대책으로는 공급선 다변화와 국내생산 기반확보, 단기적으로는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면서 "매점매석에 관한 관리통제, 필요하면 가격통제, 더 나아간다면 수입 그 다음에 유통을 공공영역에서 일정 부분 담보하는 방법도 강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원내대표는 "중국발 요소 수입애로로 인해 요소수 품귀현상이 심각하고,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민간 경유차는 물론 유통·물류업계가 멈추는 대란 문제까지 대두된다"면서 "당도 정부, 청와대와 협력해서 중국 측에 협조 의견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윤 원내대표는 이어 "단기 대책으로는 중국의 수출제한 완화를 요청하고, 정부의 대량구매 방안을 생각 것"이라며 "제3국으로부터 수입 등 가능한 대책을 살펴보겠다. 산업용 요소수의 차량용 전환은 기술적으로 가능할지 곧 결과 나온다"고 전했다. 윤 원내대표는 역시 장기대책의 중요성을 짚었다. 그는 "궁극적으로 한 국가나 지역에 집중돼 있는 필수 원자재들을 점검해 이런 일이 다른 영역에서도 일어나지 않게 사전에 대처해 나가겠다"면서 "체계적으로 검토해서 선대위 차원에서 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the13ook@dt.co.kr
이재명 민주당 후보가 7일 국회에서 열린 요소수 관련 긴급점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