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지역에서 서울에 거주지를 둔 20∼30대의 아파트 원정투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월별 아파트 매매거래 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경기도에서 매매된 아파트 총 15만4637건 중에서 서울 거주자가 매수한 건은 총 2만9207건에 달했다. 이는 전체의 18.9%에 달하는 규모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서울 거주자 매수 비중보다 3.3%포인트나 높다. 특히 20~30대 투자가 늘었다는게 눈에 띈다. 인천 지역의 아파트는 2030 매수 비중이 작년 25.7%에서 올해는 33.2%로 높아졌고, 경기도는 28.9%에서 36.3%로 늘었다. 안양, 군포, 구리는 각각 40%대로, 시흥과 오산, 평택도 각각 30%대로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원정투자가 증가한 것은 서울 부동산의 고강도 규제 탓이 크다. 서울보다 상대적으로 가격대가 낮고 규제가 덜한 수도권으로 매수 수요가 몰린 것이다. 서울보다 적은 돈으로 갭투자가 가능한 것이 매수세 유입에 한몫 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문제는 부동산 과열 경고음이 나오는 상황에서 모아놓은 재산도 없고 소득도 적은 청년 세대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임), '빚투'(빚내서 투자)의 위험성이다. 정부의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으로 주택시장에 조정기가 닥치면 고스란히 타격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크다. 더구나 2030 세대는 최근 고점에서 주택을 집중적으로 매수한 탓에 집값이 조금만 떨어져도 손실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따라서 2030 세대의 계속되는 아파트 '사자 행렬'은 절대 가볍게 볼 사안이 아니다.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상황인 것이다.

이렇게 젊은층들이 빚까지 끌어다 아파트 원정투자에 나서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다. 하지만 정부와 정치권은 근본적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문제의 심각성에 비해 "안타깝다"는 식의 선언적 언급만 할 뿐이다. 젊은 세대의 과도한 부채, 공격적 투자의 뇌관이 터진다면 후폭풍은 감당할 수 없을 정도가 될 것이다. 폭탄이 터지지 않도록 선제적 관리가 절실하다. 과도한 레버리지 투자를 단속하면서 점진적 출구를 마련하는 일이 중요하다. 무엇보다도 2030 세대를 투기판으로 내모는 작금의 부동산 대란을 해소하는 게 근본적 해법이다. 이것이 '영끌', '빚투'를 잠재우는 지름길이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