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캠프 출신 인사들, 줄줄이 이재명 경기도지사 ‘저격글’
“정권교체 57.7% - 재집권 32.0%. 91.2% ‘반드시 투표하겠다’”
“민심이 무섭다…하늘이 내린 재앙인가”

이재명(왼쪽) 경기도지사와 정운현 전 이낙연 캠프 공보단장. 정운현 페이스북, 연합뉴스
이재명(왼쪽) 경기도지사와 정운현 전 이낙연 캠프 공보단장. 정운현 페이스북, 연합뉴스
'이낙연 캠프'에 속해있었던 정치권 인사들이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향한 날선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하루에 1개꼴로 비판적인 메시지를 내놓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 일각에서는 민주당의 '원팀 정신'이 위태로운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8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낙연 캠프 출신 정운현 공보단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정권교체 57.7% - 재집권 32.0%. 91.2% '반드시 투표하겠다'. 민심이 무섭다. 하늘이 내린 재앙인가"라는 글을 남겼다.

정 단장은 이와 함께 여론조사 결과 링크도 올렸다. 여론조사업체 PNR(피플네트웍스리서치)이 (뉴데일리·시사경남 의뢰·조사기간 지난 15~16일·조사대상 전국 유권자 1000명·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p·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발표한 '차기 대선 공감도'를 살펴보면, 정권교체를 위해 국민의힘이 집권해야 한다는 응답이 57.7%로 정권안정을 위해 여당인 민주당이 재집권해야 한다는 응답(32.0%)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힘으로의 정권교체를 원하는 응답은 전 연령대에서 높았으며, 특히 20대(63.7%), 60대(63.0%), 70세 이상(68.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56.7%), 대구·경북(67.7%), 부산·울산·경남(63.8%)에서 정권교체에 대한 갈망이 두드러졌으며, 특히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가 경기지사임에도 경기·인천에서 국민의힘 집권(59.1%) 응답이 민주당 재집권(31.6%)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전북·전남(55.4%)에서는 정권안정을 위해 민주당이 재집권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지지 정당별로는 결집 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정권교체 응답은 93.3%(민주당 재집권 2.9%)로 나타났으나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재집권 응답이 82.8%(정권교체 9.7%)로 결속력이 다소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재명(왼쪽) 경기도지사와 이상이 제주대학교 교수. 이상이 페이스북, 연합뉴스
이재명(왼쪽) 경기도지사와 이상이 제주대학교 교수. 이상이 페이스북, 연합뉴스
공교롭게도 같은 날 이낙연 캠프의 복지국가비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던 이상이 제주대학교 교수도 이재명 지사를 겨냥해 "형수욕설·전과 등 도덕성 검증을 거쳐야 한다"고 비판하는 글을 남겨 관심이 쏠렸다.

이상이 교수는 "민주당의 이재명 후보는 대선 본선에서 '3개 영역의 검증'을 거쳐야 한다. 첫째는 사적 이력 검증이다. 형수욕설과 전과 등의 품성·도덕성 검증이 여기에 속한다"며 "둘째는 공적 이력 검증이다. 성남시장과 경기도지사 재임 기간 동안의 공적 이력에 대한 검증인데, 대장동 부동산 불로소득 게이트, 변호사 비용 대납 의혹, 부적절한 인사와 부당한 홍보비 지출 논란 등이 여기에 속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셋째는 국가 비전 검증이다. 기본소득 공약이 여기에 속한다. 기본소득 도입은 민주당의 강령과 당헌에 규정된 보편적 복지국가의 길을 가로막기 때문에 명백한 해당행위에 속한다. 그러므로 기본소득은 민주당의 대선 공약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대해 "절차적 정당성을 유린한 '강압적 승리'는 이낙연 후보의 수용으로 확정되었다. 그리고 3개 영역 검증 중 '사적 이력 검증'에 대해서는 다수 당원들이 본선에서 부정적 영향이 있을 줄 이미 알고 있다"며 "그런데 공적 이력 검증은 당내 경선 과정에서 네거티브 프레임에 걸려 '제대로 된 검증'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적었다.

이어 "이제 그 후과가 터져 나오고 있다. 검찰이 수사 착수 22일 만에 성남시청 압수수색을 했는데, 시청 직원들 사이에선 '기다린 압수수색'이라는 반응이 나왔다고 한다. 증거 인멸할 시간을 준 뒤늦은 압수수색에는 성남시 고문 변호사 김오수 검찰총장이 관련됐다는 비판도 나온다"며 "이는 비상식적 상황이다. 기득권 카르텔이 절차적 정당성뿐만 아니라 사법 정의마저 위태롭게 한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말았다"고 한숨을 쉬었다.

그러면서 "문제는 그 비판이 향하는 곳이 바로 집권여당인 민주당이라는 사실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 지시마저 '신속하게 꼬리를 자르고 수사를 마무리'하라는 것으로 '오해받는 지경'에까지 이르고 말았다"며 "여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검찰이 뒤늦게 성남시청 압수수색에 나섰지만 핵심 결재라인인 시장 비서실이 압수수색 대상에서 빠졌고, '윗선 수사'에 검찰이 미온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교수는 "게다가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에 대한 구속영장도 기각되고 말았다. 사람들이 검찰 수사를 의심스럽게 바라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하겠다"며 "상황이 이렇게 전개되니, 민심은 '특검 요구'를 지지하는 쪽으로 흐르고 있다. 이는 문재인 대통령의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 지시마저 기망하는 모습을 드러낸 정부와 여당의 책임"이라고 집권여당을 싸잡아 비판하기도 했다.

끝으로 그는 "지금 국민은 진정으로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를 원한다. 이를 통해 이재명 후보의 '공적 이력 검증' 중의 하나인 대장동 부동산 불로소득 게이트가 신속하게 매듭지어지길 희망한다"며 "대장동 게이트와 관련한 이재명 후보의 정치적·법적 책임 여부가 대다수 국민의 눈높이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가려지는 것이 사법 정의임을 분명하게 보여주기 바란다"고 뼈 있는 말을 남겼다.

권준영기자 kjykj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권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