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글로벌 기업 중 오너기업이 비오너기업보다 실적 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과 투자 등에서 뛰어난 경영성과를 거뒀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8일 '오너기업 vs 비오너기업 현황 및 경영성과' 분석 자료를 공개하고 이 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글로벌 시가총액 100대 기업(금융사 제외) 중 오너기업은 40개, 비오너기업은 60개로 분류했다.

전경련은 단일 지배 가족이 해당 기업 소유권을 또는 의결권을 50% 이상 가지는 경우, 창업자 또는 가족이 지분을 보유해 경영에 참여하는 경우, 창업자의 후손이 지분을 보유해 경영에 참여하는 경우 중 하나에 해당하면 오너기업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100대 기업의 시가총액 합은 약 33조8000억 달러이며, 이 중 40개 오너 기업의 시가총액이 18조5000억 달러로 55%의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오너기업의 평균 총매출은 약 814억 달러, 고용은 18만2490명을 기록했다. 비오너기업의 총매출은 657억 달러, 고용은 13만8315명이었다.

당기순이익 역시 오너기업 101억달러, 비오너기업 55억달러로 오너기업이 1.8배 많았다. 평균 부채비율은 오너기업이 76%로 비오너기업 225%와 비교해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전경련은 아울러 2015년 대비 지난해 경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오너기업의 총매출은 63.2%, 고용은 22.0% 증가했지만, 비오너기업의 총매출은 7.1% 늘고, 고용은 0.3%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오너기업의 경우 연구·개발(R&D) 투자는 99.7%, 설비투자는 93.1% 각각 증가한 데 비해, 비오너기업의 R&D 투자 증가율은 28.7%에 그쳤고 설비투자는 3.8% 감소했다.

오너기업은 당기순이익이 135.6%, 영업이익이 100.5% 증가해 비오너 기업의 11.3%, 4.1% 증가율보다 높았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오너기업이 한국 특유의 기업 체제이고 성과가 안 좋을 것이라는 부정적 인식을 해소해야 한다"며 "동일인 지정제도와 과도한 가업 상속세율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정일기자 comja77@dt.co.kr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정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