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김상희 국회부의장(더불어민주당)이 과학기술방송통신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에서 알뜰폰으로 번호이동 한 가입자 수가 2019년 42만8561명에서 2021년 8월까지 74만1937명으로 약 73%가 증가했다. 전체 번호 이동 중 알뜰폰이 차지하는 비율도 7.39%에서 22.85%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최근 3년간 전체 번호이동 현황을 살펴보면, 이통3사에서 다시 이통3사로 번호이동을 하는 수와 비율 모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통3사에서 다시 이통3사를 선택한 이용자는 2019년 423만명에서 2020년 361만명, 2021년 8월까지 171만명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2019년 전체 번호이동 가입자 중 73%가 다시 이통3사로 가입한 반면에 2021년에는 53%로 줄었다.
김 부의장은 "이통3사에서 알뜰폰으로 많은 이용자가 이동하는 현상은 5G 서비스 이용자가 증가하며 관련 소비자 불만이 꾸준히 발생하면서부터 이미 예견된 일"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소비자원이 지난해 발표한 '5G 소비자 문제 실태조사'에 따르면 가장 많은 응답자가 5G 불편사항으로 '5G의 체감 속도가 만족스럽지 않다'고 답했다.
이통3사의 비싼 5G 요금도 알뜰폰으로 이동하는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과기정통부가 김 부의장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통3사의 5G 요금 평균 금액은 6만9777원, 알뜰폰의 평균요금은 약 1만5000원에서 2만원 대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부의장은 알뜰폰 시장의 '출혈 경쟁'도 지적했다. 과도한 경품 지급으로 이동통신 3사의 불법보조금 문제를 답습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상희 부의장은 "알뜰폰이 많이 활성화 된 만큼 과도한 출혈 경쟁을 자제하고 상생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김나인기자 silkni@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