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월 기준 2006년부터 2021년 타지역 거주자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 그래프. <경제만랩 제공>
1∼7월 기준 2006년부터 2021년 타지역 거주자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 그래프. <경제만랩 제공>
외지인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이 통계집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가 집값 안정을 위해 주택 공급확대 기조를 이어가고 있고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과 금융위원회의 대출 억제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달아오른 시장 분위기를 가라앉히기엔 역부족인 형국이다.

8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옛 한국감정원)의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 43만2400건 중 타 지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12만1368건으로 28.1%를 차지했다.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1∼7월 기준) 이후 15년만에 최고치다. 특히 올해 7월 매매 5만9386건 중 외지인 매입은 약 31%(1만8159건)로, 2006년 이후 월별 비중에서 처음으로 30%대를 넘어섰다. 서울 사람들의 타 지역 아파트 매입 비중도 올해 1∼7월 8.8%로 2006년(1∼7월 기준)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거주하지 않는 지역의 아파트를 사들이는 것은 실거주 목적보다는 임대나 단기 시세 차익을 위한 투자 수요로 풀이된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 연구원은 "거주하지 않는 지역의 아파트를 사들이는 것은 실거주 목적보다는 임대 또는 단기 시세차익 등을 위한 투자 목적에 접근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탈서울 내 집 마련 수요들이 갭투자에 나서면서 외지인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나 매매가격이 워낙 비싸다 보니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경기도와 인천으로 몰리는 '탈서울 내 집 마련 수요'가 외지인의 매입비중을 크게 늘린 핵심요인"이라며 "규제지역에서는 대출을 받으면 6개월 이내로 전입해야 하므로 '세입자 무이자대출'인 전세보증금을 안고 매입하는 갭투자가 많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WM사업부 부동산 수석위원은 "비규제지역 저가 위주의 주택에 투기 수요의 거래가 증가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라며 "올해 상반기 강원과 제주, 충남, 충북 등 지방 비규제지역을 매입한 서울 거주자 비중이 높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실제로 전체 주택 가격이 급등하고 대출 등으로 거주지역의 주택을 매입하기 어려워지자 자산증식 수단으로 매입을 검토하려는 수요자들의 문의가 증가했다"라고 덧붙였다.

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서울 시내 한 공인중개업소에 급매물 안내가 걸려 있다.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공인중개업소에 급매물 안내가 걸려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상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