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카카오는 전날보다 10.06% 떨어진 13만8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네이버도 40만9500원으로 7.87% 하락했다. 이에 따라 카카오와 네이버의 시가총액은 61조5919억원과 67조2천659억원으로 이날 하루 6조8930억원, 5조7492억원씩 줄었다.
특히 외국인이 오후 2시30분 기준 카카오를 2703억원, 네이버를 1117억원 각각 순매도했다. 카카오와 네이버는 이날 외국인 순매도 종목 1, 2위로 나타났다.
정부·여당이 카카오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제기하며 온라인 플랫폼 규제 가능성이 커진 결과다.
지난 7일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송갑석·이동주 의원실 주최로 열린 '공룡 카카오의 문어발 확장: 플랫폼 대기업의 불공정거래 근절 대책 토론회'에서 서면축사를 통해 "혁신 기업을 자부하는 카카오가 공정과 상생을 무시하고 이윤만을 추구했던 과거 대기업들의 모습을 그대로 따라가서는 안 된다"며 규제 추진을 예고했다.
윤호중 민주당 원내대표도 "입점 업체에 대한 지위 남용과 골목 시장 진출, 서비스 가격 인상 시도까지 카카오의 행보 하나하나가 큰 우려를 낳고 있다"며 "민주당은 이러한 상황을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최근 카카오와 관련된 시장 독점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국회에는 네이버·카카오 등 온라인 플랫폼의 불공정 거래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의 법안들이 계류 중이다.
금융당국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등 온라인 금융플랫폼의 금융상품 판매에 대해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 위반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 것도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김위수기자 withsu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