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7일 여성가족부의 권한 강화·해체를 각각 요구한 2건의 국민청원에 대해 여가부 역할론에 힘을 보탰다. 오히려 여성가족부를 해체하라는 청원이 5만 명 이상 많은데도 청와대는 "한 사회가 얼마나 강하고 성숙한 지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포용하는 정도로 가늠할 수 있다"며 여가부를 역할 강화에 무게를 실었다.

류근혁 청와대 사회정책비서관은 이날 청와대 국민 청원의 답변자로 나서 여가부 관련 2건의 국민 청원에 답했다. 지난 7월에 게시된 해당 청원들은 지난 7월 게시돼 해체 청원은 26만 3550명, 권한 강화 청원은 20만 7072명의 동의를 받았다.

류 비서관은 "여성, 청소년, 다문화가족, 한부모가족 등 구조적 차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이들을 포함해 우리 공동체 누구도 소외시키지 않는 포용적 사회환경을 만드는 것이 여성가족부에게 주어진 역할"이라고 말했다. 류 비서관은 "정부조직은 국가정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국민의 행정수요에 부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고, 체계적인 행정업무 처리뿐 아니라 그 시대가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와 가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이름으로 변해왔다"며 코로나19 사태 이후 질병관리본부가 질병관리청으로 승격된 사례 등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어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여러 이슈에 대한 인식은 성별, 세대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면서도 "다양한 의견의 표출은 우리 사회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나아가야 할 가치를 찾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이런 견해차가 극한 갈등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은 오히려 사회적 논의를 저해하기도 한다"면서 "여성가족부 존치 및 강화 청원과 해체 청원은 정부조직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 개진이기도 하고, 우리 사회의 이슈를 반영하는 청원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류 비서관은 "정책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현장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소통을 강화하고, 사회적 수용성을 고려하여 보다 세밀하게 정책을 추진하도록 하겠다"며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고 신뢰받는 정부가 되도록 부처 간 적극 협력하고 정책의 성과를 내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임재섭기자 yjs@dt.co.kr

7일 청와대 국민 청원게시판에 올라와있는 여성가족부 해체·존치 관련 청원 답변. 존치 청원보다는 해체 청원에 5만 명 이상 많은 사람들이 동의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화면 캡처.
7일 청와대 국민 청원게시판에 올라와있는 여성가족부 해체·존치 관련 청원 답변. 존치 청원보다는 해체 청원에 5만 명 이상 많은 사람들이 동의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화면 캡처.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임재섭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