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2040년 수소사회 달성을 선언했다. 2028년까지 모든 상용차에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적용하고, 연료전지시스템의 크기와 가격을 획기적으로 수소 에너지의 대중화를 선도한다는 목표다.

현대차그룹은 7일 '하이드로젠 웨이브' 글로벌 온라인 행사를 열고 수소사업의 비전과 새로운 수소연료전지 및 수소모빌리티의 실체를 공개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2040년까지 수소에너지로 산업 및 사회 전반에 획기적인 변화를 일으키겠다는 '수소비전 2040'을 제시했다.

먼저 현대차그룹은 전 세계 자동차 회사 중 최초로 상용차의 전면적인 친환경 전환 계획을 발표했다.

현대차그룹은 2028년까지 글로벌 자동차 업계 최초로 이미 출시된 모델을 포함한 모든 상용차 라인업에 수소연료전지를 적용할 예정이다. 앞으로 대형 트럭, 버스 등 모든 상용차 신모델은 수소전기차와 전기차로 출시해 배출가스가 아예 나오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수소연료전지 상용차를 앞세워 연 40만대에 이르는 유럽 중대형 상용차 시장에 본격 진출하는 등 글로벌 확산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또 2030년 전 세계 70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소형상용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전장 5~7m 수준의 수소연료전지 PBV(목적기반 모빌리티)를 개발하고, 상용차 부문에 자율주행과 로보틱스까지 결합해 사업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현재의 수소연료전지시스템보다 크기와 가격은 낮추고 출력과 내구성을 높인 차세대 연료전지시스템으로 향후 수소사회 실현을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2023년 내놓을 3세대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의 시제품인 100㎾급과 200㎾급 연료전지시스템이 세계 최초로 공개됐다.

100㎾급 연료전지시스템은 넥쏘에 적용된 2세대 연료전지시스템에 비해 부피를 30% 줄였고, 상용차용으로 개발 중인 200㎾급 연료전지시스템은 넥쏘의 시스템과 크기는 비슷하지만 출력은 2배 정도 강화됐다.

현대차그룹은 3세대 연료전지시스템은의 가격을 가격을 지금보다 50% 이상 낮출 계획이다. 2030년쯤에는 가격을 더욱 낮춰 수소전기차가 일반 전기차 수준의 가격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차그룹은 이 외에도 새로운 수소연료전지 및 수소모빌리티의 실체를 대거 공개했다. 대펴적으로 미래 장거리 물류를 위한 무인 운송 시스템 콘셉트 모빌리티인 '트레일러 드론'이 최초로 공개됐다. 또 고성능 수소연료전지차 '비전 FK', 재난현장 촬영 및 방수총 가동으로 화재 진압하는 '레스큐 드론', 수소충전소인 'H 무빙 스테이션' 등 새로운 수소모빌리티 및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선보였다.

현대차그룹은 오는 8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리는 '수소모빌리티+쇼' 전시 행사에서 7개 그룹사가 참여해 총 18개의 전시물을 선보일 예정이다.

정의선 회장은 "미래 수소사회 비전은 수소에너지를 '누구나, 모든 것에, 어디에나' 쓰도록 하는 것으로 이런 수소사회를 2040년까지 달성하려 한다"며 "각국 정부와 기업들의 많은 동참이 필요하다. 책임감 있는 글로벌 기업시민으로서 인류의 미래를 위해 수소사회를 앞당길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장우진기자 jwj17@dt.co.kr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7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하이드로젠 웨이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공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7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하이드로젠 웨이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공
무인 운송 시스템 콘셉트 모빌리티인 '트레일러 드론'. 현대자동차 제공
무인 운송 시스템 콘셉트 모빌리티인 '트레일러 드론'. 현대자동차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장우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