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나사가 개발한 섀도캠으로 촬영한 달 극지역의 크레이터 예상 모습으로, 보통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모습(왼쪽)과 섀도캠으로 촬영한 모습(오른쪽)  과기정통부 제공
미국 나사가 개발한 섀도캠으로 촬영한 달 극지역의 크레이터 예상 모습으로, 보통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모습(왼쪽)과 섀도캠으로 촬영한 모습(오른쪽) 과기정통부 제공
내년 8월 국내에서 발사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는 달 궤도선에 미국의 고정밀 촬영 카메라가 탑재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 중인 '한국형 달 궤도선(KPLO)'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개발한 섀도캠(ShadowCam) 장착을 마쳤다고 30일 밝혔다.

섀도캠은 달의 남북극 지방에 위치하는 분화구와 같이 태양광선이 닿지 않는 영구 음영지역을 촬영하는 고정밀 촬영 카메라로, 미국이 제작해 제공한다.

이번 섀도캠 장착은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 중 하나인 미국 주도 유인 달탐사 국제협력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약정 이후 양국 간 우주분야 협력 확대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과기정통부는 내다봤다.

우리나라는 섀도캠 외에 미 나사와의 달 탐사 협력을 통해 달 궤도선을 달 궤도상에 보내는 심우주 항행기술과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심우주 통신기술을 전수받게 된다.

반대로 우리나라는 나사의 2024년 달 유인 착륙 후보지를 대상으로 섀도캠을 통해 물이나 자원의 존재 여부, 지형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등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지원하게 된다.

우리의 달 궤도선은 오는 10월 조립을 마치고, 환경시험과 최종 점검을 거쳐 내년 8월 미국 스페이스X사의 서비스를 이용해 발사할 계획이다.

달 궤도로 쏘아 올려진 달 궤도선에는 고해상도 카메라, 광시야편광카메라, 자기장 측정기, 감마선분광기, 우주인터넷, 섀도캠 등 6개의 탑재체를 활용해 1년 간 달 궤도를 돌면서 달 탐사 임무를 수행하고, 우주 탐사기술 확보·검증을 실시하게 된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달 탐사 사업은 한미 상호 호혜적 협력을 통해 심우주탐사 핵심기술을 확보함과 동시에 향후 달 착륙선 개발 등 우주 탐사의 시발점이 될 것"이라며 "오는 10월 한국형발사체 발사, 내년 시작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과 함께 본격적인 우주시대를 열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미국 나사가 개발한 '섀도캠'. 달의 남북극 지방에 분화구와 같이 영구 음영지역을 촬영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과기정통부 제공
미국 나사가 개발한 '섀도캠'. 달의 남북극 지방에 분화구와 같이 영구 음영지역을 촬영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과기정통부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