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정일 기자] LG화학이 배터리 소재 솔루션 세계 1위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LG전자가 운영하던 분리막 사업을 5250억원에 인수한다.

LG화학은 29일 이사회를 열고 LG전자의 BS(비즈니스솔루션)사업본부 내 화학·전자재료(CEM) 사업 부문을 5250억원에 인수하는 영업 양수 안건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인수 대상은 생산설비를 비롯해 해당 사업부문 인력 등 유무형 자산 일체다.

LG전자 CEM사업부는 분리막 등 배터리 소재와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청주, 중국 항저우, 유럽 폴란드 브로츠와프에 생산시설을 두고 있다. 국내·외 임직원 800여명은 전원 고용이 유지된다.

LG화학은 이번 인수로 기존 양극재, 음극 바인더, 전해액 첨가제, CNT(탄소나노튜브) 분야와 함께 분리막까지 양산하게 됐다. 세계에서 배터리 4대 핵심 소재에 적용되는 주요 기술을 보유한 유일한 기업이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LG화학은 자체 개발한 차세대 코팅 기술과 LG전자의 생산성 극대화 기술력을 기반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경쟁력을 갖춘 제품 개발 등을 통해 분리막 사업을 수 년 내 조 단위 규모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회사는 분리막의 표면을 세라믹 소재로 얇게 코팅해 안전성과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SRS(안전성 강화 분리막) 기술을 보유 중이며, 분리막의 내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코팅 기술 등도 추가로 확보했다고 소개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이차전지용 분리막 시장은 올해 약 4조1000억원 규모에서 2025년 약 11조원으로 규모로 연평균 27.9% 성장할 전망이다.

LG화학은 이번 인수를 포함해 2025년까지 6조원을 투자해 배터리 소재 사업을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양극재 사업은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연산 6만톤 규모의 구미공장을 올해 12월에 착공할 계획이다. 이 공장이 가동하면 LG화학의 양극재 생산능력은 2020년 4만톤에서 2026년 26만톤으로 7배 가량 늘어난다.

회사는 여기에 양극재의 재료가 되는 메탈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광산 업체와 조인트벤처(JV) 체결을 준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올해 기준 연산 1700톤 규모인 CNT 생산 능력도 2025년까지 3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지난 4월 리튬이온배터리의 양극 도전재 시장 공략을 위해 1200톤 규모의 CNT 2공장을 증설 완료했으며, 연내 3공장도 착공을 준비 중이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배터리 소재 사업의 밸류 체인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분리막 사업을 적극 육성하는 한편 성장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는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세계 1위 종합 전지 소재 회사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박정일기자 comja77@dt.co.kr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지난 14일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친환경 바이오 소재, 전기차 배터리 소재를 손에 들고 3대 신성장 동력 사업 육성 및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LG화학 제공>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지난 14일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친환경 바이오 소재, 전기차 배터리 소재를 손에 들고 3대 신성장 동력 사업 육성 및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LG화학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정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