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출시한 솔루션은 5G 기능이 추가된 HPE 서비스 디렉터(Service Director)와 HPE 5G 자동화 어슈어런스(HPE 5G Automated Assurance) 솔루션으로, 5G 네트워크 관리를 간소화해주고, 제로 터치 폐쇄형 루프 시스템을 활용해 설치 시 리스크를 줄여 준다.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자동으로 감지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네트워크 기능, 인프라, 슬라이스, 서버 모니터링 및 운영을 돕는다. HPE 5G 코어 스택 같은 HPE의 오픈 5G 솔루션에 사전 통합돼 제공되며 멀티벤더 환경에서도 통합될 수 있도록 오픈 API를 제공하고 오픈소스 기술을 활용한다.
기업이 5G를 도입하는 경우 대역폭, 레이턴시, 지원 가능한 기기와 서비스 수가 대폭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엄청난 복잡성과 네트워크 운영 리스크가 발생한다. IT 업계가 5G 표준화를 통해 기업이 오픈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업의 분산형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이용하도록 지원하지만, 통신사들은 수천 곳의 사이트 간 네트워크 슬라이스, 수천 개의 가상머신, VNF(가상 네트워크 기능), CNF(컨테이너화된 네트워크 펑션)를 관리해야 한다.
HPE의 5G 자동화 소프트웨어는 인프라 관리에서 슬라이스 자동화까지 안전한 오픈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활용해 자동화 기능을 제공한다. 또 멀티 벤더 환경 내 5G 네트워크 관리 리스크를 줄여준다. 통신기업들은 5G 자동화 솔루션을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 및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3GPP)의 산업 표준에 맞춰 구축할 수 있으며 자동화 어슈어런스를 오케스트레이션과 결합해 제로 터치 폐쇄형 루프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HPE의 솔루션은 새로운 NF(네트워크 기능), 슬라이스 또는 서비스가 추가 구축될 때마다, 자동으로 서비스 둔화를 감지하고 인프라와 서비스의 복구, 확장 및 최적화 기능을 실행한다.
HPE의 통합 5G 자동화 솔루션은 인텐트 기반 오케스트레이션, AI·ML 기반 어슈어런스, CNF 온보딩, 자동화된 슬라이스 관리 및 탄력적인 인프라 등을 바탕으로 5G 환경이 필요한 다양한 경우를 위해 설계됐다. 신규 5G 소프트웨어 솔루션은 기존의 HPE 5G 코어 스택, HPE 오픈랜 솔루션 스택 및 HPE 엣지 오케스트레이터 등 엣지 솔루션과 함께 HPE 5G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된다. HPE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서비스 어슈어런스, 오케스트레이션 및 인프라 관리 솔루션 등을 기반으로 통신사들의 5G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신규 소프트웨어는 HPE 5G 코어 스택에 사전 통합되어 제공되며 HPE와 파트너사를 활용한 멀티 벤더 환경 내의 NF와도 통합된다. 이를 위해
도메니코 콘베르티노(Domenico Convertino) HPE 커뮤니케이션테크놀로지그룹 제품관리부문 부사장은 "5G와 네트워크 슬라이싱으로 인한 비즈니스 기회를 잡기 위해서, 통신기업은 산업 기준에 부합하는 오픈 클라우드 네이티브 원칙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HPE는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완전히 통합된 자동화 기술을 개발해 5G 네트워크 구축 시 발생하는 리스크를 줄이고 통신기업들의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안경애기자 naturean@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