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 두달연속 정책조정 필요성 강조
금통위 기조 변화 가능성, 임지원·조윤제 위원 소수의견 피력 가능성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불균형 누적을 지적하면서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공식화한 이후 처음으로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린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증가라는 변수로 인해 기준금리 동결이 유력하다. 다만 금융불균형 문제가 재차 지적되는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상 소수의견이 나올 가능성도 높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5일 오전 9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이번 회의에서도 기준금리를 동결하면 작년 7월, 8월, 10월, 11월과 올해 1월, 2월, 4월, 5월에 이어 아홉 번째 기준금리 동결이다.

이 총재는 지난 5월말 금통위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 정상화는 너무 서둘러서는 안 된다"면서도 "지연 됐을 때의 부작용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며 금리 연내 인상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경제와 금융안정 상황 변화에 맞춰 조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한은 창립 71주년 기념사에서는 "우리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을 향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있게 정상화해 나가야 한다"며 "경제주체들이 충격 없이 (금리 인상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공식화한 것이다.

한은 금통위도 완화적 기조에서 매파적 기조로 전환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5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한 금통위원은 "지난해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여 조성된 완화적 금융상황이 이제는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코로나19 위기 상황에 대응해 이례적인 수준으로 완화했던 통화정책 기조의 일부 조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은 금통위는 지금까지 7명 금통위원들의 만장일치로 금리 동결을 의결해왔다. 최근의 분위기를 감안하면 이날 '매파'(통화 긴축·금리 인상 지지) 성향의 소수 의견이 일부 나올 가능성이 있다. 소수 의견이 나오고, 그 수가 많다면 빠르면 다음달 금리인상이 단행될 수도 있다. JP모간의 분석에 따르면 임지원 금통위원과 조윤제 금통위원이 5월 금통위에서 매파적 색깔을 드러낸 만큼 이번 금통위에서 이들이 어떤 의견을 피력할지 주목된다.김현동기자 citizenk@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