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만 있던 대선후보 결선투표 검토…막판 뒤집기 여지 줘
4강까지 토론배틀 동반한 토너먼트제 운영案 혼합할수도
일반여론 비중 제고도 윤석열·최재형·김동연 유인책 거론
8월 경선 출발에 尹 합류 '글쎄', 룰 변경에 주자간 이견도

'대선 경선 룰' 논의에 착수한 국민의힘이 결선 투표 도입 등 최대한 많은 범)야권 후보들을 한 데 모으기 위한 방안을 고심 중이다.

12일부터 대선 예비후보 등록을 받는 국민의힘은 이준석 당 대표가 내세운 경선 버스 '8월 정시 출발론'을 재확인한 가운데, 경선 방식 조정을 통해 윤석열 전 검찰총장, 최재형 전 감사원장,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등 당밖 주자들에게 조기 합류를 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11일 국민의힘 경선준비위원회 내부에선 "결선 투표가 제도적 보완이 될 수 있다는 공감대가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국민의힘은 현행 당헌·당규상 '원내대표' 선출 규정에서만 결선투표를 규정하고 있어, 대선 후보 결선투표 규칙까지 명시한 더불어민주당과는 차이가 있다.

결선투표는 경선 후보 중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상위 득표자 2명을 대상으로 최종 투표를 실시하는 방식이다. 선거인단에 마지막 전략적 투표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투표 과정에서 당의 총의를 반영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와 함께 이준석 대표가 거론해온 '토론배틀' 방식으로 4강전까지 토너먼트로 진행하는 방안 도입이 거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2차례의 예비경선을 토너먼트와 토론배틀 형식으로 치른다는 것이다. 결선투표제가 도입되면 이렇게 해서 4강까지 오른 4명의 후보 가운데 한 주자가 압도적 강세를 보이더라도, 과반 득표에 미치지 못하면 나머지 3명이 결선 투표에서 뒤집기를 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4강 본선에서 일반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현재 50%에서 더 늘리자는 주장도 계속 나온다. 지난 4·7 재보궐선거에서 100% 시민여론조사로 뽑은 서울시장·부산시장 후보가 압승을 거둔 전례를 적극 반영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여론 반영률을 높일수록 당의 실제 구성원인 당원투표 가치가 하락할 수밖에 없어 '당원 홀대' 논란이 일 수 있다.

당 내부에선 여론 반영 비율을 높이고,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면 당외 주자들이 경선에 일찍 참여할 유인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그러나 윤 전 총장, 최 전 감사원장 등 당밖 주자들이 실제 경선에 일찍 참여할 지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당밖 주자들의 장외 빅텐트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 '킹메이커'로 불리는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최근 한 매체 인터뷰에서 윤 전 총장이 현재 차기 대권 여론조사 지지율 1위를 유지할 경우, 국민의힘 경선에 합류할 가능성을 낮게 봤다. 김 전 비대위원장은 아예 오는 11월 야권 단일후보 선출을 전제로 "서울시장 보선 때 오세훈·안철수 후보가 단일화했던 형태"를 제시하기도 했다.

당내 대권 주자 간 이견도 나온다. 하태경 의원이 최대 100% 일반여론조사 도입을 주장한 반면 홍준표 의원은 "당 (대선) 후보를 뽑는 데 당원 의사가 반영되지 않는 선거제도가 어디에 있냐"고 주장했다.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 대표는 "사람에 따라, 시기에 따라 당헌·당규 또는 법에 정해진 걸 함부로 조정하는 건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기호기자 hkh89@dt.co.kr

지난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선 경선준비위원회 첫 회의에서 참석자들이 자가격리에 따라 화상으로 참석한 서병수 경선준비위원장 인사말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선 경선준비위원회 첫 회의에서 참석자들이 자가격리에 따라 화상으로 참석한 서병수 경선준비위원장 인사말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한기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