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정일 기자] 수출 회복세에도 기업들이 체감하는 시장 상황은 녹록지 않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기저효과와 반도체 경기 호조에 가려진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 격화'와 '마진율 감소', '시장점유율 하락' 등 3중고를 직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수출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글로벌 경쟁상황 변화와 우리 기업의 대응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79.3%가 해외 경쟁 강도에 대해 '격화추세'라고 답했다고 11일 밝혔다. '약화 추세'라고 답한 기업은 15.3%에 그쳤다.

우리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는 요인으로 '경쟁기업의 증가'(61.3%)를 가장 많이 꼽았다. '시장성장세 둔화'(46.4%), '기술혁신 가속화'(34.7%)를 꼽는 기업도 많았다.

경쟁 기업이 속한 국가로는 '중국'(42.3%), '미국'(26.0%), '일본'(20.3%), 'EU'(18.3%) 순으로 나왔으며, '베트남'(9.7%)을 지목한 기업도 있었다. 국내 기업을 경쟁사로 보는 의견도 35.0%에 달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포스트 코로나로 점차 본격화되는 국제경쟁에 대한 경계심과 우려 때문"이라며 "반도체, 배터리 등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주요국의 신산업 선점경쟁 가속화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양적완화 축소, 탄소세 부과 등 새로운 도전과 미래 불확실성이 누적되고 있는 것도 작용한 듯 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시장 경쟁 격화로 마진율 감소를 겪고 있다는 기업도 10곳 중 6곳(64.0%)이 넘었다. 마찬가지로 '시장점유율 하락'을 겪고 있다는 기업도 절반(48.3%)에 가까웠다.

기업들은 원자재 등 원가 상승을 수출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운 점 등을 마진율 감소의 주 이유로 꼽았다. 기계장치 제조 A사는 "원가가 오른 만큼 수출가격에 반영하려고 해도 해외 발주처에서 거부감이 크고 수용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며 "원가 상승이 가격에 반영되는 정도는 잘해야 30% 수준에 그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위기 속에서도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노력은 미진했다. 스마트공장이나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 중이거나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현 기업은 10곳 중 3~4곳 정도에 머물렀고, 인공지능(AI)이나 빅데이터를 활용하거나 계획이 있다는 기업 역시 소수에 불과했다.

송유철 동덕여대 교수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친환경·디지털화를 비롯한 기술과 시장의 변화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고 파괴력도 커지고 있다"며 "투자와 시간이 필요하지만, 일단 궤도에 오르면 적은 비용으로도 경쟁력을 극적으로 혁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규종 대한상의 기업정책팀장은 "차세대 통신·데이터·에너지 인프라투자 확대, 대규모 투자자금 유치가 가능하도록 펀딩관련 규제완화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정일기자 comja77@dt.co.kr

대한상공회의소 '글로벌 경쟁상황 변화와 우리 기업의 대응실태' 설문조사 결과. <대한상의 제공>
대한상공회의소 '글로벌 경쟁상황 변화와 우리 기업의 대응실태' 설문조사 결과. <대한상의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정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