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가 8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주장하는 '재난지원금 전국민 지급' 주장과 관련해 "예산은 총액이 정해져 있다. 전국민에게 지원금을 주게 되면 다른 부분에는 예산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도 "당정 간에 충분히 논의해 (선별지급안을) 합의한 것"이라고 말하면서, 사실상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김 총리는 이날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 집중'에 출연해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에서 결정한다면 저희로서는 따를 수밖에 없지만 한 번 더 생각해본다면 이번 추경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도움을 받아야 될 사람들은 결국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이라면서 "지난 1년간 거의 사실상 업을 접어야 하다시피 한 어려움에 놓여 있는 분들을 우선적으로 보호하고, 백신이라든가 방역에 대한 투자를 우선적으로 해야 된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그렇다고 빚을 내는 것은 국민들이 동의를 하겠나. 그런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저희 안을 제출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도 BBS라디오 '박경수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당정 간에 충분히 논의해 (선별지급안을) 합의한 것"이라며 "국회의원들은 이런저런 생각을 밝힐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현행 안에 충실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앞서 당정은 33조원 규모의 2차 추경을 통해 1인당 25만원씩 소득 하위 80%에게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려고 했지만 민주당내 반발은 계속되는 상황이다. 민주당은 전날 이례적으로 '정책 의총'까지 소집돼 3시간동안 격론을 벌였고 전국민에게 재난지원금을 지급하자는 주장이 우세했던 것으로 전해졌으나, 결론은 내지 못하고 당 지도부에게 최종 결정 권한을 위임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지도부가 논의하고 이후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심사하는 과정을 거치는 방식으로 추가 논의 및 세부 수정안을 확정하기로 했으나, 김 총리와 이 수석이 이날도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이견이 줄어들 수 있을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임재섭기자 yjs@dt.co.kr
8일 김부겸 국무총리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2차 추경안 관련 시정연설을 마친 뒤 자리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