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인공지능(AI) 산업이 2025년이면 77조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반도체·디스플레이 '굴기(몸을 일으킴)'에 이어 AI도 중국이 규모의 경제로 장악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8일 '중국의 AI 산업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며 "우리나라는 민관이 합심해 중국의 AI 굴기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AI 산업 규모는 지난해 1500억위안(약 25조7890억원)에서 연평균 26.8% 성장해 2025년 4500억위안(약 77조3640억원)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2030년까지 글로벌 1위 AI 강국이 되겠다는 목표로 중국 정부가 자국 AI 산업에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서다.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양회에서 통과된 '제14차 5개년(2021∼2025년) 규획 및 2035년 장기 목표'를 통해 2035년까지 완성할 7대 첨단 과학기술의 첫 번째로 AI를 제시했다.

또 도시 인프라·의료·제조·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 AI를 활용하고 있다. AI를 결합해 안면인식 보안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주도하고 자율주행차 시장을 빠르게 키우는 한편, 도시·농촌 간 의료 불균형과 같은 사회 문제 해결에 나서기도 한다.

보고서는 "중국은 빅데이터 경쟁력, 14억 인구의 거대 내수시장, 정부의 강력한 의지와 중장기 전략이 뒷받침된 정책 환경을 바탕으로 미국에 이은 제2의 AI 강국으로 부상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정부 승인 아래 개인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비교적 용이하고 거대 내수시장을 AI 기술 개발의 저변으로 활용할 수 있어 대규모 자본과 인재가 모여드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은 지난해 인용된 전 세계 AI 논문 중 20.7%를 차지해 처음으로 미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의 AI 기술 수준은 작년 기준 미국(100)의 85.8%로 유럽(89.5%)에 이어 3위다. 우리나라는 미국 대비 80.9% 수준이다.

전보희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후발주자임에도 첨단산업 분야에서 약진하는 중국의 성장전략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우리나라도 AI 산업 육성을 위해 규제를 혁파하고 개방과 공유의 패러다임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하는 한편, 고급 인재 육성과 해외 인재 유치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일기자 comja77@dt.co.kr

<한국무역협회 제공>
<한국무역협회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정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