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개막하는 올림픽을 앞두고 일본 도쿄 지역에 코로나19 긴급사태가 다시 선포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와 대회 조직위원회, 도쿄도(都)는 8일 제한적으로 받기로 했던 올림픽 관중 수용 문제를 다시 논의할 예정이다.
현재로선 모든 경기를 무관중으로 여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교도통신은 7일 일본 정부가 도쿄에 내달 22일까지 시한으로 긴급사태를 다시 선포한다는 방침을 여당측에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도쿄 지역에 긴급사태가 선포되면 작년 4월 이후 4번째가 된다.
일본 정부는 8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 주재로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오는 11일까지 시한으로 도쿄, 오사카 등 10개 도도부현(都道府縣·광역자치단체)에 코로나19 방역 대책으로 적용 중인 '만연 방지 등 중점조치'(이하 중점조치)의 연장 여부를 논의한다.
이와 함께 이 조치보다 수위가 높은 긴급사태를 도쿄에 다시 선포할지도 결정한다.
스가 총리는 7일 취재진을 만나 "도쿄의 감염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만전의 체제로 감염을 억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스가 총리는 "현재 (오키나와에 적용 중인) 긴급사태와 중점조치를 어떻게 할지 8일 전문가 회의의 의견을 구하겠다"고 했다.
일본 언론은 스가 총리가 "만전의 체제로 코로나19에 대응하겠다"고 언급한 점 등을 근거로 도쿄에 적용 중인 중점조치가 긴급사태로 상향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도쿄도(都)는 이날 새롭게 확인된 코로나19 감염자가 920명이라고 발표했다. 도쿄 지역의 하루 확진자가 900명을 넘은 것은 긴급사태가 발효 중이던 지난 5월 13일(1010명) 이후 약 8주 만이다. 인구 1400만명의 도쿄는 신규 감염자가 하루 500명을 웃돌면 긴급사태 선포 상황(폭발적 확산)으로 분류된다.
도쿄에 지난달 21일 해제된 긴급사태를 다시 선포할 경우 23일 개막하는 도쿄올림픽은 무관중 경기로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와 대회 조직위원회, 도쿄도(都)는 지난달 21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와 개최한 올림픽 5자 회의에서 이달 12일 이후로도 긴급사태나 중점조치가 적용되는 상황이라면 무관중 개최를 포함하는 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올림픽 5자는 8일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 결과에 맞춰 제한적으로 받기로 했던 관중 수용 문제를 다시 논의할 예정이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