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9일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와 함께 선박과 항만의 '친환경 전환 가속화'와 '디지털화'를 해운산업 도약의 기회로 삼을 것"이라며 "2030년까지 150만TEU 이상의 컨테이너 선복량을 확보해 해운 매출액을 70조 원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세계 해운산업 리더 국가로 도약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부산항 신항에서 열린 '해운산업 리더국가 실현전략 선포 및 1.6만TEU급 한울호 출항식'에 참석한 자리에서 "이제 우리는 더 큰 도전에 나설 것이다. 정부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컨테이너 선박 '대형화'에 따른 경쟁력을 갖추겠다. 남미, 아프리카까지 노선을 넓히고, 미국 서안 등 글로벌 거점 터미널을 확대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HMM의 1만 3000TEU급 컨테이너 선박 12척의 추가 확보를 지원하겠다"며 "항만-공항-철도를 연계하는 물류 서비스로 해운 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또한 "가속화되고 있는 선박의 '친환경화'와 '디지털화'를 우리의 기회로 만들겠다"며 "친환경 선박 기술개발에 2500억 원을 투자하여 저탄소 선박에 이어 2050년까지 무탄소 선박을 상용화하고, 세계 친환경 해운시장을 주도하겠다. 우리는 이미 조선산업에서 친환경 선박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스마트해운물류 시스템 도입에도 속도를 내겠다. 광양항을 시작으로 부산신항, 진해 신항 등 신규 항만에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스마트 항만의 모범을 만들겠다"며 "자율운항선박 기술을 조기에 확보하여 2030년까지 세계 자율운항선박 시장의 50%를 선점할 계획이다. 특히 중소 화주의 전용선적 공간을 더욱 늘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오늘 부산항에서 '한울 호'의 뱃고동 소리와 함께 해운 선도국가 '대한민국 호'가 힘차게 출발한다. 전 세계 크고 작은 항구에 태극기가 휘날릴 것"이라며 "조선산업도 함께하며 대한민국이 만든 선박들이 바다를 누빌 것이다. 파도를 넘으며 대한민국은 더욱 힘차게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집권후 부터 이날까지 4차례 해운업계를 현장을 찾았다. 지난 2018년 3월에는 부산항을 방문해 해운산업 재건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약속한 적이 있다. 문 대통령은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의 시작인 제1호 초대형 컨테이너선 'HMM 알헤시라스호' 명명식(2020년 4월)에도 함께했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출범 초기 국내 해운산업의 위기로 어려움을 겪었다. 한진해운이 파산하면서 선복량과 매출액 감소, 수출경쟁력 약화 등 총체적 난국에 직면했다. 정부는 해운재건을 국정과제로 삼고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설립, 초대형 컨테이너선 20척 신조를 비롯한 해운선사 지원책을 가동해왔다.
한편 이날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이 밝힌 계획에 따른 관련 업·단체 상호 간 업무 협력 협약 및 신규 선박 건조계약도 체결됐다. 한국해양진흥공사,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및 한국자산관리공사는 정책금융기관 공동으로 최대 30억불 규모의 친환경선박 신조지원 프로그램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HMM과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은 1.3만TEU급 선박 12척을 신규 건조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마지막으로 한국해운협회와 한국무역협회는 수출입물류 관련 업계 간 상생 협력 협약을 체결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기 선·화주 간 협력과 상생을 꾀할 예정이다.임재섭기자 yjs@dt.co.kr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부산신항 4부두에서 열린 해운산업 리더국가 실현전략 선포 및 1.6만TEU급 한울호 출항식에서 선원 및 부두근로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