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에 대한 관점 변화없어
北과 적대 아닌 해결이 목표"
"어떤 명칭 붙이든 역할 그대로"
한미워킹그룹 '종료'엔 온도차
"헛된 꿈"이라는 북한의 반응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북의 긍정적 반응을 희망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면서도 한미 워킹그룹을 종료와 관련해서도 한미 간 조율의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종료'라는 표현을 쓰지는 않았다.
앞서 우리 외교부는 한미 워킹 그룹의 종료를 알려, 북의 의도에 따른 것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대북 정책에서 미국이 분명한 '원칙'을 실천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미국의 대화 촉구에 선을 그은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와 관련,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22일(현지시간) 국무부 전화 브리핑에서 "외교에 대한 우리의 관점엔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김 부부장의 담화를)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북한의) 핵프로그램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북한과 원칙 있는 협상에 관여할 준비가 계속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시 한 번 북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우리의 (대북)정책은 적대가 아닌 해결에 목표를 두고 있다"고도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에 미국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궁극적 목표를 향해 원칙 있는 외교적 접근을 하겠다는 입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미 당국자를 인용, 궁극적 목표를 위해 진전을 볼 수 있는 실용적 조처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의 원칙적인 태도는 한미 워킹그룹 활동 종료와 관련한 태도에서도 엿보인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미 워킹그룹 종료를 확인해줄 수 있느냐는 질문에 미국의 대북정책 실시에 있어 한국 등 동맹과의 조율이 중요하다며 "이런 관여를 계속할 것이고 끝내는 것은 절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한국을 포함해 동맹과의 협의 및 조율은 우리 대북정책의 시행에 있어 핵심적 부분"이라고 밝혔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정부 각급에서 다양한 외교적 메커니즘을 통해 계속 그렇게 할 것"이라며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끊임없이 찾고 있다"고 말해, 한미 워킹그룹이란 명칭은 사라질 수 있지만 그 역할은 어떤 방식이든 이어질 것임을 분명히 했다.
미 국무부 당국자 역시 미국도 워킹그룹의 '종료'(termination)라는 표현을 쓰는지, 아니면 '재조정'(readjustment)을 원하는 것인지에 대한 서면질의에 "어떤 외교적 메커니즘을 어떻게 이름 붙이든 우리는 대북정책 시행에 있어 한국과의 긴밀한 조율에 전념하고 있다"고 답했다.
미 국무부의 이러한 공식 반응은 외교부의 발표와 온도 차가 있다. 앞서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전날 한미 북핵수석대표협의에서 워킹그룹을 종료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앞으로 한미는 북핵 수석대표 간 협의 이외에도 국장급 협의를 강화키로 했다"고 밝혔다.
대북정책 시행과 관련해 협의를 강화한다는 부분에 있어서는 양국의 입장이 일치하지만 워킹그룹이라는 협의체의 존속 여부와 관련해 외교부는 '종료'라는 분명한 표현을 쓴 데 비해 국무부는 모호하게 여지를 남겨둔 셈이다. 임재섭기자 yjs@dt.co.kr
北과 적대 아닌 해결이 목표"
"어떤 명칭 붙이든 역할 그대로"
한미워킹그룹 '종료'엔 온도차
"헛된 꿈"이라는 북한의 반응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북의 긍정적 반응을 희망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면서도 한미 워킹그룹을 종료와 관련해서도 한미 간 조율의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종료'라는 표현을 쓰지는 않았다.
앞서 우리 외교부는 한미 워킹 그룹의 종료를 알려, 북의 의도에 따른 것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대북 정책에서 미국이 분명한 '원칙'을 실천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미국의 대화 촉구에 선을 그은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와 관련,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22일(현지시간) 국무부 전화 브리핑에서 "외교에 대한 우리의 관점엔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김 부부장의 담화를)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북한의) 핵프로그램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북한과 원칙 있는 협상에 관여할 준비가 계속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시 한 번 북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우리의 (대북)정책은 적대가 아닌 해결에 목표를 두고 있다"고도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에 미국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궁극적 목표를 향해 원칙 있는 외교적 접근을 하겠다는 입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미 당국자를 인용, 궁극적 목표를 위해 진전을 볼 수 있는 실용적 조처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의 원칙적인 태도는 한미 워킹그룹 활동 종료와 관련한 태도에서도 엿보인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미 워킹그룹 종료를 확인해줄 수 있느냐는 질문에 미국의 대북정책 실시에 있어 한국 등 동맹과의 조율이 중요하다며 "이런 관여를 계속할 것이고 끝내는 것은 절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한국을 포함해 동맹과의 협의 및 조율은 우리 대북정책의 시행에 있어 핵심적 부분"이라고 밝혔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정부 각급에서 다양한 외교적 메커니즘을 통해 계속 그렇게 할 것"이라며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끊임없이 찾고 있다"고 말해, 한미 워킹그룹이란 명칭은 사라질 수 있지만 그 역할은 어떤 방식이든 이어질 것임을 분명히 했다.
미 국무부 당국자 역시 미국도 워킹그룹의 '종료'(termination)라는 표현을 쓰는지, 아니면 '재조정'(readjustment)을 원하는 것인지에 대한 서면질의에 "어떤 외교적 메커니즘을 어떻게 이름 붙이든 우리는 대북정책 시행에 있어 한국과의 긴밀한 조율에 전념하고 있다"고 답했다.
미 국무부의 이러한 공식 반응은 외교부의 발표와 온도 차가 있다. 앞서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전날 한미 북핵수석대표협의에서 워킹그룹을 종료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앞으로 한미는 북핵 수석대표 간 협의 이외에도 국장급 협의를 강화키로 했다"고 밝혔다.
대북정책 시행과 관련해 협의를 강화한다는 부분에 있어서는 양국의 입장이 일치하지만 워킹그룹이라는 협의체의 존속 여부와 관련해 외교부는 '종료'라는 분명한 표현을 쓴 데 비해 국무부는 모호하게 여지를 남겨둔 셈이다. 임재섭기자 yj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