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자성 이용한 토양정화기술 개발
점토서 세슘 선택 분리...저비용, 제염 탁월

원자력연은 방사성 오염 토양에서 점토와 강하게 결합하는 세슘을 자성을 이용해 선택 분리해 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원자력연 제공
원자력연은 방사성 오염 토양에서 점토와 강하게 결합하는 세슘을 자성을 이용해 선택 분리해 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원자력연 제공
원자력 사고지역이나 해체된 원자력시설에서 토양 속 방사성 오염물질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김일국 박사 연구팀이 세슘과 강하게 결합한 점토(지름 0.002㎜ 이하의 미세한 흙입자)를 자성으로 선택적 분리한 후, 남은 오염 토양에서 잔여 세슘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방사성 오염물질인 세슘은 토양 중 점토에 강하게 흡착하기 때문에 제염 시 가장 먼저 분리해야 한다.

연구팀은 플러스 전하를 띤 자성 나노입자를 제조한 후, 정전기적 인력으로 토양 내 점토 입자와 결합을 유도했다. 이 과정에서 자성을 띤 점토 입자는 외부 자석을 통해 추가 에너지 없이 쉽게 분리된다.

이어 자석에서 점토를 분리할 때 메시 필터를 결합해 선택성을 높여 90% 가량의 방사성 세슘을 분리해 냈다. 연구팀은 점토 분리 후 남은 오염 토양에 페로시아나이드(세슘 제거용 입자)가 결합된 자성 흡착제를 투입해 세척한 결과, 세슘이 95% 이상 제거되는 것을 확인했다. 방사성 오염 토양에서 점토를 자성으로 분리한 후, 자성 흡착제를 이용한 세척과정을 거치면 97%의 방사성 세슘을 제거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일국 원자력연 박사는 "토양정화 기술은 방사성 오염토양뿐 아니라, 중금속, 유류 등 일반 환경오염 토양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원자력시설 해체 시 발생하는 대량의 방사성 오염토양을 처리하는 데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상용화 연구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케미칼 엔지니어링 저널(지난달 말)' 온라인판에 실렸다.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원자력연이 자성 복합체를 활용해 토양 속 방사성 물질인 세슘을 분리해 내는 토양정화기술의 모식도  원자력연 제공
원자력연이 자성 복합체를 활용해 토양 속 방사성 물질인 세슘을 분리해 내는 토양정화기술의 모식도 원자력연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