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생명, 흥국생명 등 4개기관 투자약정
23일 '칸서스SH뉴딜인프라1호' 설정
디지털뉴딜, 그린뉴딜 사업 중 BTL 사업 투자
칸서스자산운용이 3000억원 규모의 한국판 뉴딜 인프라펀드를 출시한다.
칸서스자산운용은 농협생명보험, 흥국생명보험 등 4개 기관투자자와 3000억원의 BTL사업(Build Transfer Lease, 임대형 민간투자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칸서스 에스에이치뉴딜인프라 전문투자형사모특별자산 투자신탁1호(이하 칸서스에스에이치뉴딜인프라1호)'의 투자약정을 17일 체결, 23일 신규 설정한다고 밝혔다.
'칸서스에스에이치뉴딜인프라1호'는 BTL사업에 투자하는 펀드로 대학시설(국립대 생활관 등), 교육시설(그린스마트스쿨 등), 국방시설(관사, 병영시설 등), 하수관로설비 등 사업사회기반시설을 건설한 뒤 완공시점에 소유권을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 이전하고 장기에 걸쳐 임대료를 받아 투자비를 회수하는 구조의 펀드다.
해당 펀드는 지난 2월 정부가 발표한 '디지털뉴딜(교육인프라 디지털전환, 그린스마트 스쿨, 스타트병원 구축 등)' 및 '그린 뉴딜(스마트 상하수도 등)'사업 중 BTL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는 사업을 투자대상으로 한다.
칸서스자산운용은 2004년에 설립된 독립계 자산운용사로, 2005년 인프라운용본부를 신설해 대체투자를 확대해 왔다. 현재 인프라운용본부(본부장 조동철 상무)는 약정규모 5조1000억원의 55개 인프라 관련 펀드를 운용하고 있고, 이 중 BTL사업에 투자하는 펀드로는 2007년에 설정된 '칸서스인프라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1호'를 시작으로 26개의 펀드를 운용 중이다.
칸서스자산운용은 시장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칸서스에스에이치뉴딜인프라1호'를 시작으로 BTL사업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등 ESG에 투자하는 펀드와 전통적인 민간투자사업 등 다양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인프라 관련 펀드를 지속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23일 '칸서스SH뉴딜인프라1호' 설정
디지털뉴딜, 그린뉴딜 사업 중 BTL 사업 투자
칸서스자산운용이 3000억원 규모의 한국판 뉴딜 인프라펀드를 출시한다.
칸서스자산운용은 농협생명보험, 흥국생명보험 등 4개 기관투자자와 3000억원의 BTL사업(Build Transfer Lease, 임대형 민간투자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칸서스 에스에이치뉴딜인프라 전문투자형사모특별자산 투자신탁1호(이하 칸서스에스에이치뉴딜인프라1호)'의 투자약정을 17일 체결, 23일 신규 설정한다고 밝혔다.
'칸서스에스에이치뉴딜인프라1호'는 BTL사업에 투자하는 펀드로 대학시설(국립대 생활관 등), 교육시설(그린스마트스쿨 등), 국방시설(관사, 병영시설 등), 하수관로설비 등 사업사회기반시설을 건설한 뒤 완공시점에 소유권을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 이전하고 장기에 걸쳐 임대료를 받아 투자비를 회수하는 구조의 펀드다.
해당 펀드는 지난 2월 정부가 발표한 '디지털뉴딜(교육인프라 디지털전환, 그린스마트 스쿨, 스타트병원 구축 등)' 및 '그린 뉴딜(스마트 상하수도 등)'사업 중 BTL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는 사업을 투자대상으로 한다.
칸서스자산운용은 2004년에 설립된 독립계 자산운용사로, 2005년 인프라운용본부를 신설해 대체투자를 확대해 왔다. 현재 인프라운용본부(본부장 조동철 상무)는 약정규모 5조1000억원의 55개 인프라 관련 펀드를 운용하고 있고, 이 중 BTL사업에 투자하는 펀드로는 2007년에 설정된 '칸서스인프라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1호'를 시작으로 26개의 펀드를 운용 중이다.
칸서스자산운용은 시장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칸서스에스에이치뉴딜인프라1호'를 시작으로 BTL사업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등 ESG에 투자하는 펀드와 전통적인 민간투자사업 등 다양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인프라 관련 펀드를 지속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