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한복진흥센터와 함께 한복 근무복을 시범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지난달 27일부터 한복근무복 전시회를 연 가운데, 온라인상에서는 한복 근무복에 대한 네티즌들의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한복 근무복을 본 네티즌들은 '전통과 현대의 조화로움', '고급스러워 보인다' 등의 긍정적인 반응부터, '현장 근무자들이 입기에는 어려운 복장', 관리하기 힘들 것 같다'는 우려까지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개발된 한복 근무복은 계절과 형태에 따라 입을 수 있도록 64종으로 개발됐다. 신장경, 황선태, 유현화, 이혜미 등 중진 디자이너 4명과 '2020 한복디자인프로젝트'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은 김청음 디자이너가 디자인 개발에 참여했다.
문화예술기관 직원 등이 한복의 문화적 품격을 보여주면서도 편하게 일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게 한복 근무복의 특징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문체부는 문화예술기관을 한복 근무복 시범 보급 대상으로 정했으며 향후 여행업, 숙박업 등 한국적 이미지를 알릴 수 있는 기관·단체 등과 협업해 보급 대상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한복 근무복 전시회는 오는 11일까지 문화역서울284 RTO에서 열린다.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한복 근무복.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한복 근무복을 본 네티즌들은 '전통과 현대의 조화로움', '고급스러워 보인다' 등의 긍정적인 반응부터, '현장 근무자들이 입기에는 어려운 복장', 관리하기 힘들 것 같다'는 우려까지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개발된 한복 근무복은 계절과 형태에 따라 입을 수 있도록 64종으로 개발됐다. 신장경, 황선태, 유현화, 이혜미 등 중진 디자이너 4명과 '2020 한복디자인프로젝트'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은 김청음 디자이너가 디자인 개발에 참여했다.
문화예술기관 직원 등이 한복의 문화적 품격을 보여주면서도 편하게 일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게 한복 근무복의 특징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문체부는 문화예술기관을 한복 근무복 시범 보급 대상으로 정했으며 향후 여행업, 숙박업 등 한국적 이미지를 알릴 수 있는 기관·단체 등과 협업해 보급 대상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한복 근무복 전시회는 오는 11일까지 문화역서울284 RTO에서 열린다.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