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본 트러스트는 영국 정부가 지난 2001년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탄소감축 방안의 일환으로 설립한 친환경 인증기관이다. 삼성전자는 국내 5개 사업장을 비롯해 미국, 중국 등 총 9개 사업장에 대해 '탄소, 물, 폐기물 저감' 인증을 받고, '트리플 스탠다드' 라벨을 취득했다.
트리플 스탠다드는 3년간 사업장의 탄소 배출량 3.7%, 물 사용량 2.2%, 폐기물 배출량 2.1%를 저감하고, 각 분야의 경영 체제에 대한 종합 평가 기준을 만족한 기업에게 수여된다. 삼성전자는 2018~2019년까지 각 생산공정에서 사용·배출되는 평균량 대비 지난해 △탄소 9.6% △물 7.8% △폐기물 4.1% 저감(원단위 기준)에 성공해 기준을 만족했다.
특히 이는 최근 반도체 제품의 미세화·고집적화 추세에 따라 그 제조 공정이 더욱 복잡해지면서 물의 사용과 탄소 및 폐기물의 배출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는 가운데 이뤄낸 성과라는 게 삼성전자 측 설명이다.
이와 관련 삼성전자는 지난 2019년 미국·중국 등 해외 반도체 사업장에 재생에너지 인증서(REC)를 구매해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했으며, 국내 사업장의 경우 태양광 및 지열 발전 시설을 설치해 일부 사무실 전력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온실가스 사용량을 최적화하고, 온실가스 저감 장치에 들어가는 새로운 촉매를 개발하는 등 탄소 저감 활동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2020년 생산량 기준 환산 시 약 130만t의 탄소 배출량을 저감해 원단위 기준 9.6% 저감에 성공했다. 이는 서울시 2배 면적에 해당하는 소나무를 심어야 흡수할 수 있는 양이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초순수를 정제하고 남은 물을 옥상 습식 세정 시설, 냉각탑 등에 재사용하고, 멤브레인(필터) 기술을 활용한 폐수 정화를 통해 물 재이용량을 높였다. 일부 중수도 설비를 통합해 설비 운전 효율을 높이고, 제조 공정 최적화 등을 통해 물 사용량을 절감했다. 이를 통해 2020년 생산량 기준 환산 시 물 사용량 1025만t을 감축하는 데 성공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공정에서 사용하는 소재를 전환하고, 특정 설비에 공급되는 소재의 양을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폐수 슬러지를 대폭 감축했다. 라인에 입고되는 제품의 포장 기준을 수립해 일회용 포장재 배출량도 감축했으며, 일반 사무실에서 나오는 재활용품의 분리배출 체계도 개선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삼성전자는 2020년 생산량 기준 환산 시 3만5752톤의 폐기물을 감축했다.전혜인기자 hye@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