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크샐러드, 결제내역·소비정보 가계부 제공
투자일임 서비스 핀트, 인공지능 자동투자
금융·SNS 접목 핀크리얼리, 가입자 12만명 돌파

뱅크샐러드 가계부 서비스 화면 (뱅크샐러드 제공)
뱅크샐러드 가계부 서비스 화면 (뱅크샐러드 제공)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서비스가 수요가 늘면서 자산관리, 생활편의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인공지능(AI)을 바탕으로 금융투자를 해주거나 지출내역을 한 번에 정해주는 게 대표적이다. 비대면 세탁 주문 서비스도 등장했다.

자산관리의 기본은 현재 자산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소비 계획을 세우는 데 있다. 다수의 계좌와 다양한 결제 방식을 사용하는 이들에게 소비 내역을 기록하는 습관을 기르기 위한 가계부 작성은 대표적인 '작심삼일' 목표 중 하나다. 카드 누적액은 자꾸 쌓이는데, 어디에 썼는지 모르겠다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것이 가계부 서비스다.

자산관리 앱 뱅크샐러드는 카드 사용 내역, 온라인 결제 내역 등 소비 정보를 모아 한 번에 볼 수 있는 가계부 서비스를 제공한다. 월별, 카테고리별 소비규모를 설정해 예산을 관리할 수 있으며, 매주 제공되는 리포트를 통해 자신의 소비 패턴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클릭 한 번으로 소비내역을 파악하는 습관을 만들 수 있다.

가계부 말고도 건강, 투자, 신용, 자동차, 주거, 노후까지 데이터를 한꺼번에 볼 수 있으니 나만의 자산 분석부터 컨설팅까지 가능하다. 과거에는 각 서비스마다 연동을 진행해야 한다는 점이 편의성을 높이는 데 걸림돌이었지만 오는 8월 마이데이터 사업이 시행되면 한 번에 모든 금융 정보를 연동할 수 있게 된다.

비대면으로 계좌를 개설하고 자산운용까지 맡길 수 있는 서비스도 있다.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의 핀트(Fint)는 투자 일임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입자가 계좌에 자산을 넣어두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국내외 금융상품에 투자해 수익을 올려준다. 2019년 출범 이후 지난해말까지 가입자가 10배이상 늘었다.

핀크 제공
핀크 제공
금융과 SNS를 접목한 '핀크리얼리'도 있다. 연령, 직업과 연봉, 자산을 가진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는 예적금, 주식, 펀드 등 실제 금융상품 종류와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모아 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자신의 금융생활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싶은 고객들이 재테크 고수를 비롯한 타인의 노하우가 담긴 실제 금융 데이터를 참고해 금융 포트폴리오를 점검·개선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참여 방법은 자산 정보를 연동한 후 원하는 챌린지를 선택하면 된다. 챌린지 참여 시 별명으로 처리된 다른 유저의 금융생활 페이지를 팔로우할 수 있고, 팔로잉한 유저의 자산 내역과 참여 챌린지 및 순위 등 금융 활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공개되는 모든 정보는 별명 기반으로 제공되어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걱정 없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다.

출시 2주만에 이용자가 1만명을 넘었고, 4개월만에 누적 참여자가 12만명을 돌파했을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 지난 4월에는 하나은행 모바일 앱 '하나원큐'에 탑재되기도 했다. 핀크는 향후 서비스 범위와 제휴처를 확대해 유익한 금융 문화를 조성할 방침이다.

런드리고는 '대면'의 영역인 빨래를 비대면 서비스로 제공한다. 세탁물 수거부터 세탁, 배송까지 하루면 완료된다. 비대면 도어투도어 서비스로 빨랫감을 직접 운반해야 하는 코인세탁소의 번거로움도 해결했다. 최근에는 비대면 수선 서비스를 론칭해 진정한 '모바일 세탁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황두현기자 ausure@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