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사, 개발비 2000억 유치 올해 3분기 내 임상3상 돌입 연내 최초 K백신 출시 기대감 삼바, 모더나 백신 위탁 생산 국제 백신생산기지 위상 높여
SK바이오사이언스는 미국 워싱턴대학 항원디자인연구소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후보 물질(GBP510)의 임상 3상에 활용할 연구개발비로 최대 1억7천340만달러(약 2천억원)를 국제민간기구 CEPI(전염병대비혁신연합)에서 추가로 지원받는다고 24일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 제공
국내 바이오 업체들이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자체 백신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코로나19 백신 1세대로 거론되는 화이자, 모더나에 이어 국내에서 개발 중인 백신 후보물질이 차세대 백신으로 낙점돼 대규모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글로벌 백신 허브의 비전'을 우리 기업들이 일구고 있는 것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4일 국제민간기구인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으로 부터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관련한 투자금 1억7340만달러(약 1956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인 'GBP510'과 'NBP2001'를 개발해 오고 있다.
특히 GBP510은 CEPI로부터 기존 코로나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차세대 코로나19 백신 후보군으로 지정돼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올 3분기 중으로 GBP510 물질에 대한 다국가 임상 3상 진입을 앞두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백신 독자 개발-위탁 생산'의 투트랙 전략을 유지하며, 전 세계적으로 전염병 백신 전문업체로 급부상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미 지난해 6월 CEPI와 시설용계약(Capacity Reservation)을 체결하고 안동공장 L하우스원액 생산시설 일부를 CEPI가 지원하는 기업의 코로나19 백신의 생산에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난해 미국 바이오기업 노바백스와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의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2월에는 노바백스와 기술 이전(라이선스인) 계약을 통해,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NVX-CoV2373'을 국내에서 위탁생산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노바백스와 제휴를 맺고 코로나19와 일반 독감을 한 번에 잡는 '결합백신'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대응 백신 개발에 함께 나서기로 했다.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백신 수요가 많아지자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19 백신 생산에 몰두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올해는 일반 독감 백신의 생산을 중단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마스크 착용, 개인위생 인식 증가로 독감 발병률도 떨어졌다"며 "어차피 같은 생산 라인에서 생산되는 백신이라면 코로나19 백신을 만드는 것이 국가적 차원에서 필요하다는 판단이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21일 한미 백신 글로벌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국내 국내 업체로는 최초로 mRNA 플랫폼 방식으로 개발된 모더나 백신의 위탁생산을 담당하게 됐다. 또한 질병관리청 소속 국립보건연구원은 모더나와 mRNA 백신 연구 협력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유선희기자 view@dt.co.kr